메뉴 건너뛰기

정보제공


-「국민연금 장애심사규정」고시개정 시행 -
- 암 등 8개 장애에 대한 국민연금 심사요건 완화 -


□ 7월 1일부터 국민연금 가입 중에 장애를 입은 사람이 받게 되는 장애연금의 급여심사요건이 완화되고, 장애 결정 시점도 빨라져 보다 많은 사람이 신속하게 장애연금을 받게 된다.

□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국민연금 장애유형(13개) 중 8개 장애*에 대하여 인정기준을 일부 개선하고 장애정도 결정 시기를 앞당기는 내용을 담은 「국민연금 장애심사규정」개정고시를 7월 1일자로 시행한다고 밝혔다.
* (대상장애) 귀, 입, 팔다리, 척추, 심장, 혈액·조혈기, 복부·골반, 암 등

▶ 국민연금의 장애연금
□ 가입 중에 질병이나 부상의 초진일이 있는 경우 질병이나 부상이 완치된 후에도 장애가 남게 되면 장애별 완치일부터 그 장애가 계속되는 동안 장애연금을 지급

▶ 초진일
□ 장애의 원인이 되는 질병이나 부상에 대해서 처음으로 의사의 진찰을 받은 날

▶ 완치일
□질병이나 부상으로 신체상 또는 정신상 장애가 있는 사람이 그 질병이나 부상이 안정적 상태가 된 때(진행 중인 때에는 초진일로부터 1년 6개월 경과 시점)

□ 이번에 개정하는「국민연금 장애심사규정」은 ‘14. 4월부터 수차례의 전문가 자문, 현장 의견 수렴과 연구용역을 통해 개선안을 마련하였고 지난 4~5월간 개정안에 대해 행정예고 등 개정 절차를 거쳤다.

○ 이번 제도개선으로 약 4,300명의 국민연금 가입자가 장애연금의 신규 수혜자가 되거나 인상된 장애연금액을 지급받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에 따라 약 80억원의 장애연금이 추가로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 2015년 장애연금 수급자 78,285명, 연금액 372,090백만원

□ 이번 개정 고시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장애등급 판정기준 개선
○ 강직성척추염으로 인한 척추장애는 현재 최고 등급이 장애 3급이나 앞으로는 2급으로 상향된다.
○ 혈액암 치료를 위한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의 장애등급은 4급에서 3급으로 상향되고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도 이식 후 1년 이내에는 3급 장애로 인정된다.
○ 전이암·재발암의 장애등급을 1등급씩 상향하고 전이암·재발암이 진행하는 경우에는 항암치료를 받지 않아도 장애 3급으로 인정된다.
* 전이암 : 암이 최초 발생한 부위에서 다른 조직으로 퍼져나가는 것
* 재발암 : 치료 후 남은 암세포가 증식하는 것

② 장애정도 결정시점(완치일) 개선
○ 하나의 상병으로 여러 장애 발생 시 모든 장애가 안정되는 시점에서 완치일을 정하던 것을 장애별로 완치일을 각각 판단하여 판정시점을 앞당기게 된다.
- 후두全적출, 장루(인공항문), 요루(인공요도)는 항암치료에 수반하는 처치로 보아 완치일을 인정하지 않고 있으나, 앞으로는 후두全적출은 “적출일”을, 장루·요루는 “수술일로부터 6개월 경과한 날”을 완치일로 인정하게 된다.
○ 팔·다리가 절단된 경우 1개월 후에 완치일을 인정하였으나 앞으로는 “절단일”을 완치일로 인정하게 되어 장애연금 수급 시기를 1개월 앞당기게 된다.

③ 장애심사서류 간소화를 통한 편의성 제고
○ 장애심사 시 모든 장애에 대해 구체적인 장애상태가 기재되어 있는 ‘국민연금 장애소견서’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으나,
- 절단이나 척추고정술로 인하여 장애상태가 방사선 사진 등으로 명확하게 확인되는 경우에는 ‘국민연금 장애소견서’ 제출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 개정 내용에 관한 보다 상세한 사항은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www.mohw.go.kr, 정보 → 법령 → ‘훈령/예규/고시/지침’) 또는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www.nps.or.kr, 연금정보 →「법령 및 사규(제규정) 정보」→ ‘법령 개정 정보’)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ㅇ 이번 제도개선으로 장애등급이 상향될 가능성이 있는 대상자에게는 국민연금공단에서 개별적으로 안내문을 발송할 예정이다.

□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질병 또는 부상으로 장애를 입은 국민연금 가입자들에게 보다 빠르게 보다 많은 혜택을 드리기 위해 국민연금 장애심사규정상 제도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지속적으로 발굴, 보완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출처: 보건복지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6회 Good Job 장애인 보치아 대전 성료 보도] 사회서비스부 2025.05.27 1182
295 [문화·권익옹호] 13회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개최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5.04.08 2518
294 장애인근로자 부당해고 '심각'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2.01.05 2519
293 양천장애인복지관, 제1회 양천구 장애인 노래자랑 개최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09.05.16 2522
292 첫 시각장애인 판사 탄생…최영씨 법관 임명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2.02.17 2522
291 발달장애인 작가가 그린 컬러링북, 『네 마음을 말해봐』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6.05.23 2522
290 한국 IT의힘, 시각장애인도 문자 보낸다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0.10.21 2523
289 [자립생활] [2016 예산] 알아두면 좋은 생활밀착형 사업-2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5.09.15 2524
288 [자립생활] 최저임금 위반하면 과태료 2천만원까지 즉시 부과한다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6.06.23 2525
287 2018 볼보자동차코리아 장애어린이 보조기구 지원사업 안내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11.14 2528
286 장애인들, 뉴욕 중심에서 ‘훈훈함’ 외치다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6.06.14 2531
285 2013 장애인보조기구 교부품목 정보안내서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3.05.31 2534
» [자립생활] 7월 1일부터 국민연금 장애급여 혜택 강화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6.07.01 2534
283 무주택 장애인가정 등에 주택임차자금 3억 지원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09.05.26 2536
282 [자립생활] 내게 필요한 공공서비스 ‘딱’ 골라 준다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5.03.20 2536
281 [보조공학] 2015 희귀난치성질환자 학습용 보조기구 지원사업(후원: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5.04.08 2536
280 [자립생활] 발달 장애인에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5.05.20 2536
279 서울시 전동휠체어 지하철 환승정보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7.11.30 2538
278 ‘은평구 장애인 이동기기 수리센터’ 문 활짝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2.09.18 2538
277 장애아동을 위한 앱 개발 현황 (上)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3.06.17 2538
276 [자립생활] [2016 예산] 알아두면 좋은 생활밀착형 사업-1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5.09.15 253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