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보제공

탈시설 발달장애인 당사자 16명 국회 향한 목소리

‘시설 속 통제된 삶’…장애인 자립생활 지원 촉구

 
‘아무도 물어본적 없다’ 피켓을 들고 있는 피플퍼스트서울센터 박현철 센터장. ⓒ에이블뉴스 에이블포토로 보기▲ ‘아무도 물어본적 없다’ 피켓을 들고 있는 피플퍼스트서울센터 박현철 센터장. ⓒ에이블뉴스
발달장애인은 시설에서 정해준대로 먹고 자는 사람이 아니라 자유롭게 살아갈 권리가 있는 사람입니다. 우리를 보호하기 위함이라 말하지만, 탈시설은 위험한 것이 아닙니다. 우리도 여러분과 같이 지역사회에서 살고 싶습니다.”

탈시설을 경험한 발달장애인 16명이 자신의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며, 국회를 향해 다른 이들이 아닌 발달장애인 당사자 자신들의 이야기를 듣고 탈시설 및 자립을 지원해달라고 촉구했다.

피플퍼스트서울센터 등 9개 장애인단체가 1일 오전 10시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개최한 ‘발달장애인의 시설 탈출’ 기자회견에서다.

 
1일 오전 10시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발달장애인의 시설 탈출’ 기자회견에서 발언하는 피플퍼스터서울센터 문석영 활동가. ⓒ에이블뉴스 에이블포토로 보기▲ 1일 오전 10시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발달장애인의 시설 탈출’ 기자회견에서 발언하는 피플퍼스터서울센터 문석영 활동가. ⓒ에이블뉴스
피플퍼스트서울센터에 따르면 2020년 보건복지부 조사를 살펴보면 우리나라 장애인시설에는 2만 9,000여명이 약 20세부터 시설에 들어가 평균 20년간 거주한다. 특히 이중 10명 중 8명은 발달장애인이다.

하지만 국회 등에서 장애인 탈시설에 대해 논의할 때 시설 거주인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발달장애인 당사자의 의견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저는 태어난 지 4개월만인 1992년 시설에 입소해 2017년에 자립했습니다. 시설에서 가장 힘들었던 것은 단체생활이었습니다. 내 공간도, 옷도, 선택권도 없는 곳에서 저는 잘못하지도 않은 일로 혼나고 맞기도 했습니다. 제가 시설에서 나온 이유는 원하는 곳에서, 원하는 사람들과 살아가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탈시설할 때 부모님이 반대하기도 했습니다. 제가 잘못되거나 위험해질까봐서요. 그런데 한편으로는 탈시설할 때 내 의사와 상관없이 시설에 넣은, 나를 키워주지도 않은 분들의 동의가 왜 필요한지 답답하기도 했습니다. 아무튼 우려와 다르게 저는 먹고 싶은 것을 먹고 가고 싶은 곳을 가며, 내 공간, 내 옷, 내 취미, 내 생활을 즐기며 살고 있습니다.”(피플퍼스트서울센터 문석영 활동가)

 
‘당사자 없는 탈시설 국정감사 이제 발달장애인이 말할 차례’ 피켓. ⓒ에이블뉴스 에이블포토로 보기▲ ‘당사자 없는 탈시설 국정감사 이제 발달장애인이 말할 차례’ 피켓. ⓒ에이블뉴스
특히 발달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자유롭고 안전하게 자립생활을 하기 위해 국회에 탈시설과 자립 지원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이어졌다.

“두 가지만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먼저 장애인 탈시설지원법을 보장해 주십시오. 장애인들도 지역사회에서 사회구성원으로 살고 싶습니다. 우리 모두 똑같은 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차별 없는 지역사회를 만들어 주세요.”

“두번째로 노동권을 보장해 주세요. 제가 탈시설을 하면서 여러 가지 일을 해보았지만, 현재 공공일자리를 다니며 재미도 있고 돈도 벌고 참 좋습니다. 이 일자리를 더 많이 늘려서 다른 장애인들도 함께 일했으면 좋겠습니다.”(발달장애인 당사자 장동학 씨)

“시설과 그룹홈에서 생활할 때는 언제나 통제와 규칙에 얽매여야 했습니다. 구박도 많이 당했습니다. 하지만 자립한 지금, 저는 너무나도 자유롭게 살아가고 있습니다. 일을 하면서 돈도 모으고, 적금과 청약을 들고, 내 삶을 내가 결정하기 위한 계획도 세우고 있습니다.”

발달장애인도 사람입니다. 자유롭게 내 삶을 선택하고 결정하며 살아갈 권리가 있습니다. 국회와 정부는 탈시설하는 장애인들이 잘 살아갈 수 있도록 필요한 지원을 해주십시오. 발달장애인을 더 이상 시설에 가두지 말고 좋은 집에서 자립할 수 있게 해주십시오.”(피플퍼스트서울센터 김현아 동료지원가)

 
피플퍼스트서울센터 등 9개 장애인단체는 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발달장애인의 시설 탈출’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피플퍼스터서울센터 에이블포토로 보기▲ 피플퍼스트서울센터 등 9개 장애인단체는 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발달장애인의 시설 탈출’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피플퍼스터서울센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93 신체장애·정신장애 ‘IL운동’ 연대 한 목소리 file 조주희 2022.12.07 59
2892 중증장애인 근로자 출ㆍ퇴근 비용지원 사업 안내 file 조주희 2022.12.02 56
2891 서울 휠체어 전용 내비게이션 앱 ‘휠비’ 베타 버전 출시 file 조주희 2022.11.28 56
2890 미리 준비하는 연말정산 조주희 2022.11.28 319
2889 이천IL센터 2022 토론회 개최 안내 file 조주희 2022.11.28 67
2888 동절기 코로나19 추가접종 안내 file 조주희 2022.11.23 50
2887 내년 장애인일자리 사업 2만9546명 참여 지원 file 조주희 2022.11.21 71
2886 활동지원 예산 5500억 증액, 국회 예결위로 file 조주희 2022.11.21 70
2885 "발달장애인을 위한 읽기쉬운 자료” 배포 신청 안내 file 조주희 2022.11.21 53
2884 장애인재단, ‘2023년 프로그램 지원사업’ 접수 file 조주희 2022.11.14 59
» “발달장애인도 같이 살자” 탈시설·자립 선언 file 조주희 2022.11.07 68
2882 서울시, 내년 7월부터 장애인 버스요금 무료화 file 조주희 2022.11.07 115
2881 초록여행, 장애인 대상 ‘2023년 1월 패키지여행’ 공모 file 조주희 2022.11.07 80
2880 강원도 ‘2022년 발달장애인 조력자 역량강화 교육’ 참가자 모집 file 조주희 2022.10.31 73
2879 ‘정부24’ 장애인 맞춤형 원스톱 서비스 확대 file 조주희 2022.10.24 51
2878 장애인공단 장애인 고용률 13%…5년 새 ‘반토막’ 조주희 2022.10.24 47
2877 장애가정청소년 ‘두드림U+요술통장’ 신규 대상자 모집 조주희 2022.10.24 46
2876 장애인 등 저소득층 에너지바우처 지원단가 인상 file 조주희 2022.10.24 87
2875 연이은 장애인 폭우·화재 참사, 남 일 아니다 file 조주희 2022.10.24 86
2874 서울시, 장애아통합어린이집 치료사 지원 확대 조주희 2022.10.06 8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