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하철 교통약자 환승지도 |
서울지하철 교통약자 환승지도Version 1: PC-모바일웹용(33개역 58개 구간) 제작: 계원예술대학교 광고브랜드디자인학과 제작 이용방법: 역명을 클릭하면 해당 역 지도로 이동합니다. Version 2: 모바일앱용(22개역 40개 구간) 제작: 서울디자인재단 + 눈디자인 이용방법: 하단 이미지를 클릭하면 모바일앱과 유사한 별도의 페이지로 이어집니다. 스마트폰에서는 ‘This is a large prototype’이란 문장으로 시작하는 팝업이 뜹니다. (실제 앱이 아니라 프로토타입, 샘플이기 때문입니다) ‘닫기’를 눌러주세요. 모바일앱용 지도 목록이 뜹니다. 이용 전 이용방법 동영상(클릭!)을 한번 숙지해 주세요. 맵제작역: 건대입구(3개구간) 공덕(2개구간) 고속터미널(2개구간) 교대(3개구간) 노량진 노원(2개구간) 당산 디지털미디어시티 상봉(2개구간) 서울역(2개구간) 수서 시청(2개구간) 신길 신당(2개구간) 온수 왕십리(7개구간) 을지로3가 을지로4가 잠실 종로3가(2개구간) 합정 홍대입구
- 지도를 만들게 된 계기 휠체어 탄 초등학생 딸과 지하철을 이용하던 무의 팀원 홍윤희씨는, 휠체어와 유모차로는 지하철을 갈아타기 쉽지 않고, 갈아탈 수 있다 해도 환승 정보를 쉽게 찾기 어렵다는 점을 발견했습니다. 이런 문제점 해결을 위하여, 서울 지하철 교통약자 환승지도 제작에 참여해주신 자원봉사자 여러분 감사드립니다! 2016년 계원예대와의 협업으로 시작한 이 프로젝트는 서울시내 지하철역 중 휠체어나 유모차 이용자의 환승이 특히 어려운 역 구간의 환승경로(18개역 18개 구간)를 층별 맵 형태로 제작했으며, 2017년 서울디자인재단의 후원과 자원봉사자 여러분의 참여로 22개역 40개 구간을 추가로 작성하였습니다. 특히 이 리서치를 기반으로 하여 디자인전문기관 눈디자인이 모바일앱용 환승지도 디자인 샘플을 내놓았습니다. 컨텐츠 제작 참가자들이 직접 휠체어를 타고 리서치 활동을 다니는 과정에서 수집한 불편함은 서울교통공사에 전달하여 답변을 받았습니다. 2018년 무의는 추가로 환승지도를 더 제작하는 한편, 교통약자의 보행 동선을 감안한 안내문 수정에 지속적으로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또한 서울시도심권50플러스센터와 함께 중장년층 이용자들이 직접 휠체어를 타고 리서치하는 활동을 진행합니다. 청년 디자이너들과 함께 하는 활동을 통해 지하철내 세대간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 무의 자원봉사자 명단 (2017년) 강남규 강태경 권경숙 김가원 김경수 김기원 김다정 김동수 김래현 김민경 김선정 김선희 김신우 김영경 김은샘 김주현 김찬구 김태훈 김혜림 남궁옥 노지원 박주은 백경희 백자람 송재서 송태문 양광동 양소영 여신주현 오주현 원영오 이경은 이금숙 이덕재 이동훈 이람 이소영 이소형 이용택 이유정 이주은 이진아 임성열 임슬기 임제현 정민욱 정병엽 정영진 조정은 조화연 한민지 한지오 한지우 영원중학교 학생들 - 다음카카오 같이가치 '어떤버스' 참여 (2017년) "환승지도 디자이너 모집합니다."![]()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