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보제공

HabilitationRehabilitation의 차이,

중도장애인 서비스

 작성자 : Good job 자립생활센터  김재익 소장

작성일 : 2025. 02. 18

 

우리나라에서 흔히 사용하는 재활의 의미는 habilitationrehabilitation 개념이 혼재되어 있다. 정확히 말해서, habilitation이란 선천적으로 장애를 가지고 태어난 이들이 새로운 기능이나 능력을 학습하도록 돕는 교육적 과정을 의미하며, rehabilitation은 장애가 없던 상태에서 사고나 질병 등으로 중도에 장애를 가지게 된 경우 잃어버린 기능을 회복하는 치료 과정 및 사회복귀 과정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뇌성마비 장애아의 걷기 훈련, 지적장애아의 수 계산 교육 등은 habilitation이며, 척수손상, 뇌졸중 등으로 인한 중도장애인의 의료재활 교육재활 사회재활 심리재활 직업재활 등은 rehabilitation이 되는 것이다.

 

이미지 1.JPG

지금까지 우리나라 대학 재활학과의 커리큐럼은 주로 선천성 발달장애인이나 뇌성마비인을 위한 habilitation을 토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rehabilitation이 필요한 중도장애인을 위한 커리큐럼은 많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직업재활계 또한 habilitation에 많이 치우쳐 있고, 최저임금 보장도 안 되는 발달장애인이나 선천성 중증장애인 중심의 보호작업장 체계에 머물러있는 실정이다. 직업재활사의 명칭 또한 장애인재활상담사로 바뀌었으나 역할은 여전히 보호작업장에 많이 국한되어 있어, 더 이상의 발전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이제는장애인재활상담사라는 이름에 적합하게 역량을 키우고, 역할의 확대를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그러한 관점으로 볼 때 갈수록 늘어나는 중도장애인의 재활 과정에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참여를 통한 영역 확대 방안을 검토해 볼 수 있어야 하겠다.

2023년 장애인 실태조사(김성희 외, 2023)에 따르면, 우리나라 장애 인구 중 88%가 후천적으로 장애를 입은 경우이다. 질병이나 산재 또는 교통사고 등으로 인해서 중도장애인이 많이 증가하고 있지만 이들의 재활과 사회복귀에 대한 관심이나 연구, 서비스는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어서 앞으로는 중도장애인의 재활에 보다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본다.

 

중도장애인에게 사회재활, 심리재활, 직업재활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사회적 재활은 중도장애인에게 있어서는 주거환경 개선, 이동 향상을 통한 접근성 확대 등을 통해 사회통합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고, 심리적 재활은 그전까지 비장애인으로 살다가 갑자기 중도에 장애를 갖게 되어, 장애를 즉각 받아들일 수 없어 현재 직면한 중도장애인에게 심리적 재활을 통하여 자신과 가족이 장애를 올바르게 받아들이고, 자신의 장애로 인하여 새로운 삶을 살아야 할 정체성을 확립하게 하는 중요한 재활로서 반드시 넘어서야 할 부분이다. 직업재활에 있어서도 미국은 중도장애인의 90% 이상 원직복귀가 이루어지지만, 우리나라는 어디에서도 관련 자료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관심이 없는 상황이다. 특히 우리나라 의료재활은 현재 잘 되고 있지만, 병원을 퇴원할 때부터 시작되는 전환재활이 안 되는 상태에 놓여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도 사회재활, 심리재활을 통해 사회복귀가 어느 정도 가능하게 되고, 직업재활이 원활히 이루어진다면 원직복귀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사실 중도장애인 재활에 중요한 필수인력 중 하나는 취업에 관련되 있는 장애인재활상담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직업복귀, 원직복귀 사회복귀를 통틀어 장애인재활상담사는 중요한 중심축 역할을 하는 지휘자(conductor)로서의 자세와 역할을 가져야만 우리 사회가 좀 더 건강하고 장애를 보는 인식도 달라질 것이며, 그래야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역할이 정확히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칼럼] 중도장애인 서비스 'Habilitation'과 'Rehabilitaion'의 차이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2.19 91
3086 2025년 4월 고지대 탐방체험 여행 모집 일정 file GoodJob정보안내 2025.02.19 12
3085 [참여자 모집] 2025년 장벽 없는 우리 마을 활동가 모집 file GoodJob정보안내 2025.02.13 12
3084 서울형 긴급복지지원’ 생계급여 1인가구 월 73만원으로 인상 file GoodJob정보안내 2025.02.12 22
3083 데이터라벨링자격증교육과정 교육생 모집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2.11 15
3082 [보도자료] 서울시장애인일자리통합지원센터, '사회초년생 중증장애인 대상' 취업역량 강화를 위한 취업스킬업강좌 참여자 모집 file GoodJob정보안내 2025.02.11 17
3081 희망온돌 위기가구지원사업 GoodJob정보안내 2025.02.07 38
3080 올해 장애인도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포함 file GoodJob정보안내 2025.02.07 49
3079 2025년 여가∙가족지원팀 프로그램 참여자 모집 file GoodJob정보안내 2025.02.05 48
3078 주거취약계층의 주거 안정을 위한 주거복지기금 대출사업 '든든한주거복지기금' 공고 file GoodJob정보안내 2025.02.03 38
3077 2025년 행복한 家 프로젝트 사업 모집공고 file GoodJob정보안내 2025.02.03 66
3076 2025년 새롭게 달라진 장애인정책 총정리 file GoodJob정보안내 2025.01.23 33
3075 한국장애와 건강포럼 file GoodJob정보안내 2025.01.23 36
3074 한국장애인재단-장애인 대체도서 후기공모전 file GoodJob정보안내 2025.01.22 24
3073 장애인관련 기관대상 장애인 모집 및 교육지원 2차 안내 file GoodJob정보안내 2025.01.22 35
3072 서울시립남부장애인종합복지관2025년 사람중심계획(PCP)과 개인예산을 기반으로 한 '우리들의 출사표' 16 ~ 19기 신청 안내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정보안내 2025.01.20 84
3071 청음복지관- 2025년 중장년 평생학습 <청음 3060 아카데미> 상반기 참가자 모집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정보안내 2025.01.20 32
3070 올해부터 청소년 장애인도 '교통카드 기능 장애인 등록증' 발급 가능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1.14 65
3069 성범죄 등 강력범죄자 최대 20년간 장애인콜택시 취업 제한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1.14 54
3068 발달장애 청년작가 22명 신년전시회, m아트센터에서 31일까지 진행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1.14 3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