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보제공

HabilitationRehabilitation의 차이,

중도장애인 서비스

 작성자 : Good job 자립생활센터  김재익 소장

작성일 : 2025. 02. 18

 

우리나라에서 흔히 사용하는 재활의 의미는 habilitationrehabilitation 개념이 혼재되어 있다. 정확히 말해서, habilitation이란 선천적으로 장애를 가지고 태어난 이들이 새로운 기능이나 능력을 학습하도록 돕는 교육적 과정을 의미하며, rehabilitation은 장애가 없던 상태에서 사고나 질병 등으로 중도에 장애를 가지게 된 경우 잃어버린 기능을 회복하는 치료 과정 및 사회복귀 과정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뇌성마비 장애아의 걷기 훈련, 지적장애아의 수 계산 교육 등은 habilitation이며, 척수손상, 뇌졸중 등으로 인한 중도장애인의 의료재활 교육재활 사회재활 심리재활 직업재활 등은 rehabilitation이 되는 것이다.

 

이미지 1.JPG

지금까지 우리나라 대학 재활학과의 커리큐럼은 주로 선천성 발달장애인이나 뇌성마비인을 위한 habilitation을 토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rehabilitation이 필요한 중도장애인을 위한 커리큐럼은 많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직업재활계 또한 habilitation에 많이 치우쳐 있고, 최저임금 보장도 안 되는 발달장애인이나 선천성 중증장애인 중심의 보호작업장 체계에 머물러있는 실정이다. 직업재활사의 명칭 또한 장애인재활상담사로 바뀌었으나 역할은 여전히 보호작업장에 많이 국한되어 있어, 더 이상의 발전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이제는장애인재활상담사라는 이름에 적합하게 역량을 키우고, 역할의 확대를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그러한 관점으로 볼 때 갈수록 늘어나는 중도장애인의 재활 과정에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참여를 통한 영역 확대 방안을 검토해 볼 수 있어야 하겠다.

2023년 장애인 실태조사(김성희 외, 2023)에 따르면, 우리나라 장애 인구 중 88%가 후천적으로 장애를 입은 경우이다. 질병이나 산재 또는 교통사고 등으로 인해서 중도장애인이 많이 증가하고 있지만 이들의 재활과 사회복귀에 대한 관심이나 연구, 서비스는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어서 앞으로는 중도장애인의 재활에 보다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본다.

 

중도장애인에게 사회재활, 심리재활, 직업재활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사회적 재활은 중도장애인에게 있어서는 주거환경 개선, 이동 향상을 통한 접근성 확대 등을 통해 사회통합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고, 심리적 재활은 그전까지 비장애인으로 살다가 갑자기 중도에 장애를 갖게 되어, 장애를 즉각 받아들일 수 없어 현재 직면한 중도장애인에게 심리적 재활을 통하여 자신과 가족이 장애를 올바르게 받아들이고, 자신의 장애로 인하여 새로운 삶을 살아야 할 정체성을 확립하게 하는 중요한 재활로서 반드시 넘어서야 할 부분이다. 직업재활에 있어서도 미국은 중도장애인의 90% 이상 원직복귀가 이루어지지만, 우리나라는 어디에서도 관련 자료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관심이 없는 상황이다. 특히 우리나라 의료재활은 현재 잘 되고 있지만, 병원을 퇴원할 때부터 시작되는 전환재활이 안 되는 상태에 놓여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도 사회재활, 심리재활을 통해 사회복귀가 어느 정도 가능하게 되고, 직업재활이 원활히 이루어진다면 원직복귀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사실 중도장애인 재활에 중요한 필수인력 중 하나는 취업에 관련되 있는 장애인재활상담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직업복귀, 원직복귀 사회복귀를 통틀어 장애인재활상담사는 중요한 중심축 역할을 하는 지휘자(conductor)로서의 자세와 역할을 가져야만 우리 사회가 좀 더 건강하고 장애를 보는 인식도 달라질 것이며, 그래야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역할이 정확히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07 서울 다누림 관광센터 여행용 보조기기 대여 개시 안내 file GoodJob정보안내 2025.03.19 27
3106 취업아카데미 직업훈련 프로그램의 교육생 모집 file GoodJob정보안내 2025.03.18 18
3105 2025년도 장애인 정책 청년 모니터링단 모집 안내 file GoodJob정보안내 2025.03.18 16
3104 2025년 장애인콜택시 서울시티투어 운영 안내 file GoodJob정보안내 2025.03.17 25
3103 서울장애인근로자지원센터, 상반기 ‘도자기 체험’ 참여자 모집 file GoodJob정보안내 2025.03.13 12
3102 장애인 관련 4개 법안 국회 법사위 문턱 넘어 file GoodJob정보안내 2025.03.13 16
3101 장애인 금융 세금 가이드-43 “청년 중증장애인 자산형성 서울시 이룸통장’” file GoodJob정보안내 2025.03.13 19
3100 서울시, 휠체어·유아차도 즐기는 ‘무장애숲길’ 올해 총 76km 완성 file GoodJob정보안내 2025.03.13 15
3099 빨간불 남은시간 알려주는 신호등, 서울 350곳에서 4천곳으로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3.12 10
3098 서울시 민방위 대피소에 대하여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3.12 17
3097 경증환자를 위한 서울형 긴급치료센터(UCC) 및 질환별 전담병원 안내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3.12 8
3096 서울특별시 장애인치과병원 소개 및 장애인환자와의 동행사업 안내 file GoodJob정보안내 2025.03.11 20
3095 2025 장애인 인식개선 그림 공모전 file GoodJob정보안내 2025.03.11 96
3094 현대모비스 장애아동이동편의 지원사업 안내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3.07 20
3093 Good Job 스토리 웹진 VOL.124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3.05 10
3092 전동휠체어 보험 스티커 배부 안내 file GoodJob정보안내 2025.03.04 30
3091 장애청년드림팀 6대륙에 도전한다 모집 file GoodJob정보안내 2025.02.26 22
3090 2025년 찾아가는 법률복지사업 법률홈닥터 참여자 모집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2.26 29
3089 2025년 KMI 무료건강검진 참여자 모집 안내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2.26 21
3088 당사자와 함께하는 자립생활 물품지원 참여자 모집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2.19 4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