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9개 모든 시군구의 안전 정보 모바일로 확인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국민안전처는 인터넷·모바일 '생활안전지도 서비스'를 새해부터 전국 229개 모든 시군구로 확대한다고 30일 밝혔다.
생활안전지도는 안전정보통합관리시스템의 정보를 지리정보시스템(GIS)과 결합해 2차원 또는 3차원 지도형태로 인터넷(www.safemap.go.kr)과 모바일 '생활안전지도' 애플리케이션에서 보여주는 서비스다.
안전정보통합관리시스템에서는 안전 관련 20여 개 기관과 전국 자치단체가 보유한 치안, 교통, 재난, 사고 등 안전분야 데이터 350여 종을 다룬다.
사고 빈도와 가능성이 높은 곳은 진한 붉은색으로 낮은 곳은 흰색에 가깝게 나타난다.
이용자 주변의 교통돌발정보와 대기질(미세먼지와 오존), 방사능 오염 등 실시간 생활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안전처는 작년 9월 말 15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고, 올해 1월 115개 시군에 이어 새해부터 전국으로 정보 제공 지역을 확대한다.
안전처는 앞으로 국민의 관심이 높은 정보를 생활안전지도에 계속 추가할 예정이다.
안전처는 생활안전지도 정보가 다양한 서비스로 개발되도록 가로등, 방범등, 경찰서, 대피소 등 36개 정보를 민간기업에 공개했다.
우선 LG유플러스가 생활안전지도 정보를 활용해 '보행자 내비게이션'을 개발해 다음달부터 서비스를 할 예정으로 전해졌다.
현재 생활안전지도의 일일 이용빈도(히트)는 1만회 수준이다.
박인용 안전처 장관은 "안전 취약지역을 한눈에 인식할 수 있는 생활안전지도 서비스를 바탕으로 각 자치단체는 취약지역에 방범등 등 안전시설을 보강하고 경찰관서는 단속을 강화해 각종 안전사고와 범죄가 줄어들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tree@yna.co.kr
[출처: 연합뉴스(www.yonhapnews.co.kr)]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국민안전처는 인터넷·모바일 '생활안전지도 서비스'를 새해부터 전국 229개 모든 시군구로 확대한다고 30일 밝혔다.
생활안전지도는 안전정보통합관리시스템의 정보를 지리정보시스템(GIS)과 결합해 2차원 또는 3차원 지도형태로 인터넷(www.safemap.go.kr)과 모바일 '생활안전지도' 애플리케이션에서 보여주는 서비스다.
안전정보통합관리시스템에서는 안전 관련 20여 개 기관과 전국 자치단체가 보유한 치안, 교통, 재난, 사고 등 안전분야 데이터 350여 종을 다룬다.
사고 빈도와 가능성이 높은 곳은 진한 붉은색으로 낮은 곳은 흰색에 가깝게 나타난다.
이용자 주변의 교통돌발정보와 대기질(미세먼지와 오존), 방사능 오염 등 실시간 생활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안전처는 작년 9월 말 15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고, 올해 1월 115개 시군에 이어 새해부터 전국으로 정보 제공 지역을 확대한다.
안전처는 앞으로 국민의 관심이 높은 정보를 생활안전지도에 계속 추가할 예정이다.
안전처는 생활안전지도 정보가 다양한 서비스로 개발되도록 가로등, 방범등, 경찰서, 대피소 등 36개 정보를 민간기업에 공개했다.
우선 LG유플러스가 생활안전지도 정보를 활용해 '보행자 내비게이션'을 개발해 다음달부터 서비스를 할 예정으로 전해졌다.
현재 생활안전지도의 일일 이용빈도(히트)는 1만회 수준이다.
박인용 안전처 장관은 "안전 취약지역을 한눈에 인식할 수 있는 생활안전지도 서비스를 바탕으로 각 자치단체는 취약지역에 방범등 등 안전시설을 보강하고 경찰관서는 단속을 강화해 각종 안전사고와 범죄가 줄어들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tree@yna.co.kr
[출처: 연합뉴스(www.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