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목표치 1% 초과…올해엔 17% 증가한 5천425억원 구매계획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지난해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이 우선 구매한 중증장애인생산품 실적이 처음으로 목표치인 1%를 넘어섰다.
25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기업 등 공공기관의 2015년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 구매액은 4천640억 원으로 전년(3천530억 원)보다 31.4% 증가했다.
특히 공공기관의 전체 구매액 대비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액 비율은 1.02%로 집계돼 2008년 법 시행 이래 처음으로 목표치인 법정 구매비율(1%)을 초과 달성했다.
기관 유형별로는 공기업 등의 우선 구매 비율이 1.15%로 가장 높았고 국가기관(1.10%)이 뒤를 이었다. 공기업 등은 지난해 2천485억 원을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에 사용했다.
그러나 지방공기업을 포함한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청의 우선 구매 비율은 각각 0.80%, 0.89%로 목표치는 물론, 평균 구매 비율에도 미치지 못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복지부가 각 기관의 구매 실적, 구매 노력도 등을 평가한 결과, 국가기관 중에서는 원자력안전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 보건복지부 등이 100점 만점을 받았다.
반면 대법원(16.8점), 국회사무처(20.3점), 통일부(25.2점) 등은 점수가 낮았다.
지자체 가운데 100점 만점을 받은 곳은 부산, 서울, 대구, 경기도 등 4곳이었으며 교육청 중에는 서울시교육청과 인천시교육청 2곳이 100점 만점을 받았다.
공기업, 기타 공공기관 가운데 경상대병원, 코레일로지스, 경북대병원, 전쟁기념사업회, 코레일테크 등은 우선구매 비율이 0%로 구매 실적이 아예 없었다.
한편, 이날 열린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 구매 촉진위원회에서는 지난해 구매 실적 4천640억 원보다 785억 원 증가한 내용의 '2016년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 구매 계획'을 확정했다.
이에 따라 956개 공공기관에서는 총 5천425억원에 달하는 중증장애인 생산품을 우선 구매할 계획이다. 이는 전체 공공기관의 총 구매 예정액(49조2천억원)의 1.1% 수준이다.
복지부는 우선 구매를 독려하기 위해 구매 우수기관을 표창하고 중증장애인생산품의 품질 제고와 장애인의 고용 확대 등을 위한 제도 개선도 할 계획이다.
아울러 중증장애인생산품 생산시설의 지정과 취소 절차, 우선 구매 관리시스템 활성화 등을 위한 관련 법령 개정을 추진할 방침이다.
yes@yna.co.kr
[출처: 연합뉴스(www.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