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보제공

한국장애인개발원 정책연구부 이수연 연구원.ⓒ유튜브캡쳐 에이블포토로 보기

▲ 한국장애인개발원 정책연구부 이수연 연구원.ⓒ유튜브캡쳐관련기사

 

 

올해 여름 기록적인 폭우로 인한 신림동 발달장애 가족 참사, 소방시설 부재로 인한 시각장애인 화재 사망까지 재난이 끊임없이 일어났다. 언론에 보도된 건만 7건이 넘는다. 실제 전체인구와 비교했을 때 장애인은 재난으로 인한 조사망률이 최대 4배까지 높았으며, 대처 수준 또한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은 최혜영‧이종성‧김예지 의원과 함께 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장애인 재난상황 응급대응체계 개선과제 마련을 위한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한국장애인개발원 정책연구부 이수연 연구원은 장애인 재난 현황과 현 제도 분석 등을 통해 법령 개정, 장애 전담조직 신설, 장애계 니즈 분석 등의 제언점을 내놨다.

먼저 장애인 재난 현황을 보면, 전체 인구대비 장애인의 조사망률이 최소 2~4배까지 높았다. 운수사고 조사망률은 전체가 14.7%인 반면, 장애인구는 27.7%로 나타난 것, 낙상 또한 전체 5%인 반면, 장애인구는 21.1%로 비교적 높았다. 불의의 익사 및 익수로 인한 조사망률 또한 전체인구가 1.4%인 반면, 장애인구는 3.2%, 화재 조사망률도 전체 인구 0.6%에 비해 장애인구가 1.5%로 높은 편이다.

문제는 실제 재난 및 긴급상황 대처 수준 또한 전체 인구에 비해 낮다는 점이다. 행동요령, 신고 전화, 소화기 사용법, 인공호흡 및 심폐 소생술 방법 등 전체 재난·긴급상황 대처 수준은 전체인구 80%가 알고 있지만, 장애인구 64.6%만 알고 있었다.

특히, 장애인의 소화기 사용법과 인공호흡 및 심폐소생술법의 경우는 각각 55.5%, 37.2%로 가장 대처 수준이 낮았다. 위급상황 발생 시 10%는 전혀 대응하지 못하는 상황인 것.
 

올해 장애인 재난기사 모음, 총 7건이다.ⓒ이수연 에이블포토로 보기

▲ 올해 장애인 재난기사 모음, 총 7건이다.ⓒ이수연

 

 

 

이렇다보니, 올해 장애인 재난 사망사고가 이어졌다. 최근에는 115년 만의 기록적인 폭우로 인해 신림도 반지하 주택에 거주하던 발달장애 가족 3명이 대피하지 못해 참변을 당했고, 소방시설 부재로 혼자 거주 중인 시각장애인이 화재로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고들이 발생했다.

이 연구원은 “비장애인에 비해 장애인은 재난에 취약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통계 대비 재난시 장애인 통계관리가 돼 있지 않다”면서 장애인의 재난 수준과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우선적 현황 파악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제언점으로 우선 법령 개정 필요성을 일렀다. 2017년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상 장애인을 취약계층으로 개정했지만, 지원해줘야 할 사항이 ‘의무’가 아닌 ‘노력’인 것. 소방기본법에서도 소방업무에 관한 종합계획시 장애인을 고려하라고만 돼 있어 교육 등에 대한 언급이 미흡하다고도 짚었다.

이 연구원은 “장애인이 이용가능한 긴급대피소 마련과 재난 시 이용가능한 교통수단 제공, 보조금 제공 등에 대한 법적 제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미국의 연방재난관리청에 장애 전담 조직이 존재한다는 점을 들어, 우리나라에도 장애인 전담기관 설치를 통해 장애인 위주의 재난 정보 안내와 피해 현황, 교통수단 해결, 대피소 관리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장애계 니즈 분석 및 지원을 위한 민관 네트워크 구축 필요성과, 장애인 맞춤형 119안심콜 서비스 구축 등 재난 서비스 개선도 함께 들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연이은 장애인 폭우·화재 참사, 남 일 아니다 file 조주희 2022.10.24 189
2874 서울시, 장애아통합어린이집 치료사 지원 확대 조주희 2022.10.06 159
2873 서울시 중증장애인 반지하 가구 이주 지원 file 조주희 2022.10.06 184
2872 초록여행, 장애인 대상 ‘12월 패키지·미션 여행’ 공모 file 조주희 2022.10.06 133
2871 건강보험료 변화 조주희 2022.10.06 116
2870 ‘장애여성x일자리 매칭데이’ 취업박람회 23일 개최 file 조주희 2022.09.21 115
2869 여성장애인 출산비용지원 사업안내 file 조주희 2022.09.21 147
2868 주소지 관계없이 '장애·장애아동 수당' 신청가능 조주희 2022.09.14 149
2867 “높이조절·음성지원·수어 제공 키오스크 보급” file 조주희 2022.09.14 227
2866 서울시장애인일자리통합지원센터, 카페현장실무교육과정 교육생 모집 조주희 2022.09.14 149
2865 기아 초록여행, 장애인 대상 ‘11월 패키지·미션여행’ 접수 file 조주희 2022.09.05 146
2864 서울시, 뇌병변장애인 대소변흡수용품 ‘깔개매트’ 추가 지원 조주희 2022.09.05 169
2863 점자정보 단말기 ‘한소네6’ 시청각장애인 10명 무상 지원 file 조주희 2022.09.05 173
2862 종합조사 대상에 ‘발달장애인 주간활동’ 추가 조주희 2022.09.05 155
2861 장애인 자동차 무상 정비 ‘드림카 프로젝트 시즌10’ 접수 file 조주희 2022.09.05 128
2860 발달장애인 재산관리지원서비스 안내 file 조주희 2022.09.01 154
2859 내년 저소득장애인 월 5만원 교통비 지급 file 조주희 2022.08.25 160
2858 장애대학생 2학기에도 수업 편의 지원받으세요 file 조주희 2022.08.25 156
2857 2022 장애인문화예술축제, 3년만에 오프라인 개최 file 조주희 2022.08.18 157
2856 올해 수능, 고3 장애인 수험생도 대리접수 가능 file 조주희 2022.08.18 123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