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보제공

장애인 대상 감염병 대응 매뉴얼 첫 마련

 

 

 

– 민‧관 합동으로 마련한 장애인 감염병 대응 매뉴얼 수립‧권고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감염병 상황에서 취약할 수 있는 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한 감염병 대응 매뉴얼을 마련하여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에 권고했다고 밝혔다.

장애인은 보조인의 도움 없이 예방수칙의 이행이나 일상생활 영위가 쉽지 않아 비장애인에 비해 감염의 위험이 높고, 기저질환 등으로 감염에 의한 피해 또한 심각할 수 있어 매뉴얼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에 정부는 그간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신속히 시행했던 장애인 지원 대책과 세계보건기구(WHO)의 고려 사항을 반영하고, 대구‧경북 지역 코로나19 관련 현장 전문가들과 장애인단체 등이 참여하여 매뉴얼을 마련하였다.

이번 매뉴얼은 장애인이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장애’가 가지는 특수성으로 더욱 어려운 상황에 처할 수 있는 상황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즉, 시각 정보 습득이나 언어적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은 감염병 정보 부족과 이에 대한 이해가 미흡할 수 있다.

와상, 전동휠체어 이용 등 보행상 장애가 있는 경우 자력으로 이동이 불가능하고, 가족, 보조인의 밀접 돌봄을 받는 장애인은 돌봄이 단절되면 일상생활 영위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기저질환이나 혈액 투석․재활 등으로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한 장애인이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해 곤란한 상황에 처할 수 있으며, 장애인시설에서의 집단활동, 단체 서비스 이용 등으로 집단 감염에도 취약할 수 있다.

이에 매뉴얼에서는 이러한 의사소통 제약, 이동 제약, 감염 취약, 밀접 돌봄, 집단활동으로 인한 취약성 등 코로나19 감염병 상황에서 장애인이 겪는 특수성을 장애유형별로 제시하여, 코로나19 대응 현장에서 장애인에 대한 세심한 고려의 출발점이 되도록 하였다.

아울러, ① 감염병 정보 접근성 제고 ② 이동서비스 지원 ③ 감염예방 및 필수 의료지원 ④ 돌봄 공백 방지 ⑤ 장애인시설 서비스 운영, 5가지 영역으로 세부 고려사항과 사례를 제시하였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감염병 상황에서 취약할 수 있는 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한 감염병 대응 매뉴얼을 마련하여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에 권고했다고 밝혔다.

장애인은 보조인의 도움 없이 예방수칙의 이행이나 일상생활 영위가 쉽지 않아 비장애인에 비해 감염의 위험이 높고, 기저질환 등으로 감염에 의한 피해 또한 심각할 수 있어 매뉴얼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에 정부는 그간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신속히 시행했던 장애인 지원 대책과 세계보건기구(WHO)의 고려 사항을 반영하고, 대구‧경북 지역 코로나19 관련 현장 전문가들과 장애인단체 등이 참여하여 매뉴얼을 마련하였다.

이번 매뉴얼은 장애인이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장애’가 가지는 특수성으로 더욱 어려운 상황에 처할 수 있는 상황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즉, 시각 정보 습득이나 언어적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은 감염병 정보 부족과 이에 대한 이해가 미흡할 수 있다.

와상, 전동휠체어 이용 등 보행상 장애가 있는 경우 자력으로 이동이 불가능하고, 가족, 보조인의 밀접 돌봄을 받는 장애인은 돌봄이 단절되면 일상생활 영위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기저질환이나 혈액 투석․재활 등으로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한 장애인이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해 곤란한 상황에 처할 수 있으며, 장애인시설에서의 집단활동, 단체 서비스 이용 등으로 집단 감염에도 취약할 수 있다.

이에 매뉴얼에서는 이러한 의사소통 제약, 이동 제약, 감염 취약, 밀접 돌봄, 집단활동으로 인한 취약성 등 코로나19 감염병 상황에서 장애인이 겪는 특수성을 장애유형별로 제시하여, 코로나19 대응 현장에서 장애인에 대한 세심한 고려의 출발점이 되도록 하였다.

아울러, ① 감염병 정보 접근성 제고 ② 이동서비스 지원 ③ 감염예방 및 필수 의료지원 ④ 돌봄 공백 방지 ⑤ 장애인시설 서비스 운영, 5가지 영역으로 세부 고려사항과 사례를 제시하였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CRPD에서 돌봄통합까지 장애인 정책의 연속성과 확장」 정책토론회 성료!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7.30 16
319 서울시, 중증장애청년 자립 씨앗자금 마련‘이룸통장’631명 약정 file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07 764
318 [일자리정보] 9월 1주 _ 구인사업체 명단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07 777
317 장애인을 위한 코로나19 안내서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8.27 939
316 2020년 하반기 서울특별시 사회복지 장학사업 장학생 선발 공고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8.27 848
315 나도 유튜브 스타, 50+유튜버스쿨 2기 지금 도전하세요! file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8.27 1060
314 태풍 호우 시 시민행동 요령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8.27 834
313 서울시, 폭염 속 중증장애인 2700여명 쿨매트 등 냉방물품 지원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8.26 942
312 < 제2차 기초생활보장 종합계획 개요>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8.11 1266
311 2020 청년마음건강 심층상담 지원 참여자 모집(2차)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8.11 1218
310 “가스안전 사이버 감시단”으로 포스트코로나 시대 장애인 일자리 창출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8.07 1048
309 서울시, 장애인복지시설 근무 희망일자리 참여자 250명 선발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8.07 1200
308 서울 장애인콜택시 437대→620대…대기시간도 대폭 단축 file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8.03 1389
307 카카오같이가치 착한소풍과 함께하는 언택트 캠페인 file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8.03 1244
306 발달장애인-의료인의 상호 이해 및 소통지원으로 건강관리 돕는다! file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7.30 1226
305 2020 SPC 장애어린이 2차 의료비 지원사업 신청안내 file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7.22 1103
304 한국장애인재단, 하반기 긴급지원사업 접수 시작 file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7.22 1317
303 중증장애인 위한 스마트돌봄스페이스 연다! file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7.14 1263
302 휠체어·유모차 도시철도 이동경로, 카카오맵에서 제공한다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7.09 1239
» 장애인 대상 감염병 대응 매뉴얼 첫 마련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6.29 981
300 제4회 전국장애인 문학공모전 개최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7.08 996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