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보제공

오는 6월 1일부터 의원급 의료기관과 재진환자를 중심으로 비대면진료 시범사업이 시행된다.

출처 : 에이블뉴스(http://www.ablenews.co.kr)

 

다만, 장애인 등 의료약자에 대해서는 예외적으로 일부 초진이 허용된다.보건복지부는 30일 제9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건정심)에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추진방안’을 보고, 확정했다. 비대면진료 시범사업은 코로나19 위기단계가 ‘심각’에서 ‘경계’로 조정되면서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 한시적으로 허용되었던 비대면 진료가 종료되고, ‘보건의료기본법’에 따라 제한적 범위로 6월 1일부터 실시된다.실시기관은 의원급 의료기관을 원칙으로 하고, 병원급 진료가 불가피한 환자를 고려해 병원급 의료기관은 예외적으로 허용된다.  또한 대상은 대면진료 경험이 있는 환자를 중심으로 허용하되 의료약자는 예외적으로 초진 비대면진료가 가능하다.


만성질환자 등 기존에 대면진료를 받았던 환자는 해당 의료기관에서 동일한 질환에 대해 추가로 진료를 받을 경우 비대면진료가 가능하다.  만성질환자의 경우 대면진료를 받은 지 1년 이내, 만성질환 이외의 질환의 경우 30일 이내인 경우 비대면진료를 받을 수 있다. 소아 환자도 대면진료 이후의 비대면진료(재진)를 원칙으로 하되, 휴일·야간에 한해 대면진료 기록이 없더라도 비대면진료를 통한 의학적 상담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소아가 A병원에서 진단받은 이후 휴일·야간에 A병원이 문을 닫은 경우 B병원에서 비대면진료를 통해 응급진료 필요 여부, 보호자의 증상 대처방법 상담받을 수 있는 것.


특히 의료기관이 현저히 부족하거나 의료기관이 없는 곳에 거주하는 섬·벽지 거주 환자, 장기요양등급 판정을 받은 만 65세 이상 노인, 장애인복지법상 등록장애인, 격리 중인 감염병 확진 환자 등 의료약자는 대면진료 경험이 없어도 초진 비대면진료가 가능하다. 병원급 의료기관에서는 해당 의료기관에서 대면진료 경험이 있는 재진 환자 중 병원급 진료가 불가피한 희귀질환자, 수술·치료 후 지속적 관리가 필요한 환자에 한해 예외적으로 비대면진료를 실시할 수 있다.


비대면진료는 의사가 안전하다고 판단한 경우에 한해 실시되고, 화상진료를 원칙으로 한다.  스마트폰이 없거나 활용이 곤란한 경우 등 화상진료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음성전화를 통한 진료가 가능하다. 비대면진료 후 필요시 처방전 발급이 가능하며, 환자가 지정하는 약국으로 팩스·이메일 등을 통해 처방전을 전송하게 된다.  또한 약사와 환자가 협의해 본인 수령, 대리 수령, 재택 수령 등 의약품 수령방식을 결정하고 구두와 서면으로 복약지도 후 의약품을 전달한다. 재택 수령의 경우는 직접 의약품 수령이 곤란한 섬·벽지 환자, 거동불편자, 감염병 확진 환자, 희귀질환자에 한해 허용할 예정이다.


복지부는 6월 1일부터 시범사업을 시행하되 3개월 간 환자와 의료기관 등의 시범사업 적응을 위한 계도기간을 부여할 계획이다. 조규홍 복지부장관은 “비대면진료 시범사업은 의료법이 개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국민의 건강 증진과 의료접근성 제고를 위해 불가피한 정책으로 제한된 범위에서 실시되는 것”이라고 강조하며, “향후 의약계, 전문가 논의를 통해 시범사업 성과를 주기적으로 평가하고 부족한 부분은 보완 발전시켜 안정적인 제도화 방안을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CRPD에서 돌봄통합까지 장애인 정책의 연속성과 확장」 정책토론회 성료!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7.30 612
2963 장애인 되는데 대기 시간이 필요한가요? 동료상담 2023.07.28 235
2962 "장애인 지하철 행동 탄압 과도" 유엔 의견표명, “정부 응답하라” 동료상담 2023.07.28 139
2961 장애인의 자립생활에 도움이 되는 기술들 동료상담 2023.07.28 409
2960 장애시민교육 장애학 특강 '장애와 노동' 참여자 모집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3.07.14 167
2959 2023 부산 세계장애인대회 안내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3.07.13 168
2958 8월부터 장애인 버스요금 지원…교통비 부담 경감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3.07.12 177
2957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판정체계·연령 제한’ 정책개선 필요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3.07.12 173
2956 김예지 의원, ‘장애인학대특례법’ 제정 필요‥한동훈 장관도 ‘공감’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3.07.12 141
2955 장애인건강보건관리종합계획 마련 정책과제발굴전략기획단 발족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3.07.12 200
2954 5년 전 인권위 권고에도 정신장애인 자격 면허 취득제한 ‘ 증가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3.07.12 275
2953 수요 늘어나지만 공공부문 지원 미흡한 휠체어 ‘동력보조장치’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3.07.12 156
2952 ‘온라인쇼핑몰 이용 차별’ 집단소송, 항소심 손해배상 ‘취소’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3.07.12 242
2951 [다누림관광] 여행용 보조기기 대여 안내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3.07.11 120
2950 2023 장애인 보조기기 교부사업(보건복지부)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3.06.30 206
» 오는 6월 1일부터 의원급 의료기관과 재진환자를 중심으로 비대면진료 시범사업이 시행된다 동료상담 2023.06.08 111
2948 장애인공단, ‘장애인고용 기업 규제개선 아이디어’ 공모 동료상담 2023.06.08 136
2947 밀알복지재단, 스토리텔링 공모전 '일상 속의 장애인'‥6월 1일부터 접수 동료상담 2023.06.08 131
2946 내 목소리로 말하는 아이폰… 애플, 장애인 위한 새 기능 출시 동료상담 2023.05.25 179
2945 인권위, ‘2023 인권공모전’ 개최‥ 내달 접수 동료상담 2023.05.25 175
2944 장애인작업장, 장애인 노동시장 진출에 걸림돌인가 디딤돌인가 동료상담 2023.05.17 18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