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보제공

 시행 15년 ‘장애인차별금지법’ 실효성 부족, 전부개정안 발의
높아진 장애인 권리의식·사회변화 반영‥“법 다시 써야 할 때”
장애인 범주 확대·차별 규정 판단·징벌적손해배상 도입 등 내용


올해로 시행 15주년을 맞은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장애인차별금지법)은 사회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장애인 권리옹호와 차별구제의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반영된 '장애인차별금지법 전부개정법률안'이 발의됐다.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의원과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는 28일 오전 11시 국회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개최, 현행 장애인차별금지법의 실효성 부족 등 문제점을 되짚고 전면개정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최혜영 의원이 대표발의한 장애인차별금지법 전부개정안에는 헌법과 국제인권협약을 기준으로 장애와 장애인에 대한 범주를 확대하고, 장애를 이유로’, ‘정당한 사유 없이’라는 차별행위 판단에 대한 조건으로 법 적용을 어렵게 했었던 문구를 삭제해 장애인에 대한 차별행위를 모두 규정, 차별판단의 범위를 확대하는 내용이 담겼다.
또한 다른 법률과의 관계에서 장애인차별금지법에 대한 우선 적용 명시 등 소송이나 차별시정과정에서 실효성을 강화하도록 하고, 기존법안에 미비했던 발달장애인, 정신장애인 등 정신적장애인에 대한 내용도 추가했다.


재난상황에서의 차별조항추가, 괴롭힘 조항에 대한 강화 등 사회환경 변화를 반영하는 조항을 추가?강화했고, 징벌적손해배상 도입 등 이 법에 따른 소송절차 강화를 통해 장애인 차별에 대한 권리구제 실효성 확보하도록 했다. 이외에도 장애인 차별에 대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의무 강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련 정책 수립 시행 과정에 장애인 및 장애인단체 참여 보장, 시행령에 위임한 기본적인 정당한 편의제공에 대한 내용 본법에 명시, 구성이나 순서 내용상 합리적으로 맞지 않는 조항에 대한 변경 및 추가 삭제 등 내용도 포함됐다.


최혜영 의원은 “15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사회가 변화하고 장애인에 대한 권리의식이 높아졌지만, 그동안 법은 전면개정이 한 번도 되지 않았다”며, “이에 현행법이 장애인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있는가에 대해 고민하지 않을 수 없었고 이러한 문제의식으로 장애인차별금지법 전면 개정을 준비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15년 전 장애인차별금지법이 시행되며 사람들은 장애인을 차별하면 안 된다는 것을 인식했고 장애인 차별에 대해 구제를 할 수 있게 됐다. 지난날 장애계의 염원으로 만들어진 장애인차별금지법이 한 단계 성숙해야 할 때가 왔다”며, “지금 이 순간에도 차별받고 있을 장애인의 권리옹호와 차별구제에 이 법이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심사와 통과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최용기 회장은 “장애인차별금지법이 시행됐을 때 모든 생활영역에서 장애인 평등권 실현을 목표로 했지만, 실효성이 부족해 여전히 장애인들이 차별을 받고 있다”며 “이젠 달라져야 한다. 법이 장애인의 권리를 보장할 수 있도록 개정돼 진정으로 장애인 차별을 해소하고 평등한 삶을 살아가야 한다. 법이 실효성을 가지고 이행될 수 있도록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한편 장애인차별금지법 전부개정안에는 최혜영 의원을 비롯한 김정호·기동민·권칠승·김원이·윤관석·김영주·정성호·김상희·김예지·신정훈·윤미향·서영교·김용민·김의겸 등 60명의 국회의원이 동참했다.


출처 : 에이블뉴스(https://www.ablenews.co.kr)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71 전자출판물 사업자 ‘장애인 이용 편리한 출판물 제공 의무화’ 추진 동료상담 2023.08.23 100
»  시행 15년 ‘장애인차별금지법’ 실효성 부족, 전부개정안 발의 동료상담 2023.08.23 273
2969 휠체어 이용 장애인, 항공사에 휠체어 사용 여부 알리느라 ‘진땀’ 동료상담 2023.08.23 203
2968 장애인 탑승 거부’ 버스회사·지자체 인권위 권고 수용 동료상담 2023.08.23 150
2967 [강남구] 장애인 전동보조기기 보험가입 지원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3.08.18 106
2966 배리어프리 스포츠, “장애인이면 어때서? 잘만 하는데 동료상담 2023.07.28 154
2965 장애인에 유용한 스마트폰의 생활 안전 기능 동료상담 2023.07.28 352
2964 다양한 정책에도 체감 어려운 ‘장애인 일자리 개선 동료상담 2023.07.28 164
2963 장애인 되는데 대기 시간이 필요한가요? 동료상담 2023.07.28 217
2962 "장애인 지하철 행동 탄압 과도" 유엔 의견표명, “정부 응답하라” 동료상담 2023.07.28 128
2961 장애인의 자립생활에 도움이 되는 기술들 동료상담 2023.07.28 361
2960 장애시민교육 장애학 특강 '장애와 노동' 참여자 모집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3.07.14 156
2959 2023 부산 세계장애인대회 안내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3.07.13 151
2958 8월부터 장애인 버스요금 지원…교통비 부담 경감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3.07.12 157
2957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판정체계·연령 제한’ 정책개선 필요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3.07.12 141
2956 김예지 의원, ‘장애인학대특례법’ 제정 필요‥한동훈 장관도 ‘공감’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3.07.12 122
2955 장애인건강보건관리종합계획 마련 정책과제발굴전략기획단 발족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3.07.12 171
2954 5년 전 인권위 권고에도 정신장애인 자격 면허 취득제한 ‘ 증가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3.07.12 207
2953 수요 늘어나지만 공공부문 지원 미흡한 휠체어 ‘동력보조장치’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3.07.12 126
2952 ‘온라인쇼핑몰 이용 차별’ 집단소송, 항소심 손해배상 ‘취소’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3.07.12 20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