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보제공

국민생활에 밀접한 철도서비스 개선을 다짐하는 진선미 국토교통위원회 위원장(사진 오른쪽)과 손병석 한국철도 사장(사진 왼쪽).한국철도

한국철도(코레일)가 장애인 등 IT 취약계층도 손쉽게 승차권을 구매할 수 있도록 예매 서비스를 개선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개선안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국민 생활에 밀접한 철도 서비스가 더욱 편리해지도록 개선해가자는 권고에 따라 추진됐다.

먼저 오는 8월부터 열차가 예정시간보다 늦게 도착했을 때 역 창구에 줄서서 지연배상금을 접수하지 않아도 무조건 환급받을 수 있다.

신용카드로 구입한 승차권의 지연배상금은 승객이 따로 신청하지 않아도 결제수단으로 자동 반환된다. 현금결제 승차권은한국철도홈페이지(www.letskorail.com)에 계좌정보를 등록하고 입금 받을 수 있다.

한국철도
는 열차 지연배상 제도 개선으로 약 60%에 불과한 현재의 지연배상률이 94% 이상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그동안한국철도는 차내 방송과 안내문, 모바일 앱 코레일톡알림 기능 등 다양한 수단으로 지연배상 제도와 접수방법을 안내해왔으나, 최근 3년간 모두 21만 명이 지연배상 혜택을 받지 않아 배상금을 자동 환급하는 것으로 해결책을 마련했다.

이와 함께 고령자나 장애인 등 IT 취약계층이 역 창구에 줄 서지 않아도 승차권을 구입할 수 있도록 예매 서비스를 개선한다.

우선 그동안 모바일 앱 코레일톡을 설치해야만 이용할 수 있던 승차권 전달하기방법을 단순하고 편리하게 개선한다. 가족이나 지인이 대신 승차권을 예약하는 경우 IT 취약계층의 휴대폰 문자메시지(SMS)카카오톡으로 간편하게 보낼 수 있다.

70세 이상 고객에게 제공해온 승차권 전화예약 서비스를 만 65세 이상에게도 자동 적용한다. 이제 경로 회원은 역 창구에 대기 할 필요 없이 철도고객센터에서 전문 상담원과 통화하면서 손쉽게 승차권을 예약할 수 있다.

손병석한국철도사장은 앞으로도 적극적으로 철도 이용객의 눈높이에서 제도를 정비하고 IT 취약계층이 열차를 탈 때 불편함이 없도록 서비스를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출처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이슬기 기자(lovelys@ablenews.co.kr)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CRPD에서 돌봄통합까지 장애인 정책의 연속성과 확장」 정책토론회 성료!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7.30 2022
440 2021 쇼핑엔티 비장애형제지원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1.06.28 443
439 23일부터 장애인 6인승 차량도 통행료 감면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1.06.28 453
438 독일에서 장애인을 고용하는 10가지 이유-⓵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1.06.17 455
437 국회 복지위, 높이조절 발언대 설치·회의장 문턱 제거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1.06.17 473
436 중증장애인 출퇴근 지원 ‘착한셔틀’ 전국 확대 추진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1.06.16 467
435 통합치과 진료센터 : 푸르메재단 넥슨어린인재활병원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1.06.15 492
434 중증시각장애인 컴활 1급 시험 응시 가능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1.06.15 452
433 감염병 발생 대비 사회복지시설 지원강화 추진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1.06.15 449
432 한국뇌성마비복지회 뇌성마비인 지원사업(2차)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1.06.11 413
431 편의점 등 소규모시설 장애인 편의 의무화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1.06.09 467
430 서울시, 돌봄공백 고령장애인 활보 추가 지원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1.06.09 494
429 서울 휠체어 접근 가능 ‘착한가게’ 추천하세요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1.06.09 545
428 강남집수리봉사단 사업 소개 및 모집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1.06.08 610
427 휠체어 안타는 장애인 ‘우선탑승 택시’ 확보 추진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1.06.07 493
426 초록여행, 장애인가정 8월 ‘안전한 바캉스 여행’ 지원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1.06.07 577
425 신체장애인 탑승차량 정차시간 5분→10분 확대 추진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1.06.07 438
424 장애아동의 바람직한 행동 형성 위한 ‘마음’의 중요성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1.06.03 500
» 코레일, 장애인 등 IT취약계층 예매서비스 개선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1.06.03 552
422 장애심사 자료, ‘장애인 건강 보건통계사업’ 연계 추진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1.06.02 568
421 국립장애인도서관, '유럽 전자책 뷰어' 한국어 지원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1.06.02 516

기관명 : Good Job 자립생활센터 | 대표 : 김재익
고유번호 : 220-82-61664
주소 : (우 0624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8길 36 1~2층
TEL: 02-518-2197 FAX: 02-518-2105 | E-Mail : goodil@hanmail.net

Copyright 2022 Good Job 자립생활센터 All Rights Reserved.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