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일 국제UD세미나 “함께 만들고 함께 누리는 행복도시 만들기”>
1. 추진배경
□ 목적 : 장애인을 포함한 사회적 약자를 포용하기 위한 도시정책으로서 UD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마을공동체 운동의 전망 제시
□ 세미나의 필요성
통합(Integration) 에서 통합(Inclusion)으로!
다목적 화장실과 저상버스는 장애인만을 위한 권리인가?
이 시대의 장애인은 더 이상 보호의 대상이 아니다. 장애인에 대한 대우가 보호에서 자립으로 변화하고 있는 시점에서 장애인을 사회에 통합하기 위한 물리적·사회적 장벽을 없애는 국가 차원의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배리어프리운동은 장애인이 사회에 접근하기 위한 물리적 기반들을 변화시키는 데 일조하였으나 장애인을 특별한 보호가 필요한 집단으로 인식하는 사회·문화적 장벽은 어떻게 제거할 것인가? UD(Universal Design)의 출발점은 급격히 출현한 장애인과 노령인구의 인권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진정한 통합을 위해서는 시민사회 전체의 장벽을 제거해야 한다.
이제, UD로의 전환이 시작되었다. 특별한 대우는 거부한다! 시민사회와 함께 보편적 권리를 만들자!
주민의 자발적 참여를 바탕으로 성장하는 마을공동체 운동에서 장애인도 보호집단에서 동반집단으로 참여하려면 UD적 사고가 도입될 필요가 있다. 이에, 장애인과 시민사회가 진정한 통합(Inclusion)을 이루는 UD마을공동체 운동의 필요성을 알아본다.
2. 행사개요
□ 일시 : 2013년 8월 28일(목) 오후 2시~5시
□ 장소 : 방화동 국제청소년센터 유토피아관
□ 지원 : 2013 서울시 사회복지기금(복지계정) 지원사업
□참가대상 : 일반시민·정책관계자·마을공동체활동가 등 80명
□ 패 널
○ 주제발표 1 : 서인환(한국장애인재단 사무총장)
○ 주제발표 2 : 이토 히데키(DPI일본회의 상임이사)
○ 사례발표 1 : 김낙준(서울시 서울혁신기획관 마을공동체담당관 과장)
○ 사례발표 2 : 김동엽(강서구마을네트워크 대표)
○ 사례발표 3 : 김성은(중구길벗장애인자립생활센터 소장)
□ 부대행사
○ 제3기 2박3일함께하는 디자인공감 결과발표 및 시상
○ 제3회 어린이UD콘테스트 시상식
3. 세부일정
사회 : 미정
13:30~14:00 준비 - 접수 및 안내
14:05~14:20 개회선언 및 축사 - 개회선언 및 참석자 소개
14:20~14:35 시상식 - 어린이UD콘테스트 시상식
14:35~15:10 디자인공감 결과발표
15:10~15:20 휴 식
15:20~15:40 주제발표 1 - 진정한 통합사회를 위한 제언 : 서인환(한국장애인재단 사무총장)
15:40~16:00 주제발표 2 - 일본복지마을만들기 운동을 통해 바라보는 장애인참여의 의미 : 이토우 시게키(DPI일본회의 상임위원)
16:00~16:15 휴식 및 디자인공감 투표
16:15~16:30 사례발표 1
- 서울시 마을공동체 사업 도입의 의미와 전망 : 김낙준(서울혁신기획관 마을공동체담당관 과장)
16:30~16:45 사례발표 2
- 강서구 방화동 UD마을 만들기의 시작 : 김동엽(강서마을공동체네트워크 대표)
16:45~17:00 사례발표 3
- 지역사회와 함께 이루는 장애인의 자립생활 : 김성은(중구길벗장애인자립생활센터 소장)
17:00~17:15 질의응답
17:15~17:30 시상식 - 제3기 디자인공감 시상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