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보제공

상담전문관 통해 복지서비스 원스톱 ‘해결’

서울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계획…공무원 2배 증원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5-07-22 10:27:04
서울시주민센터를 통해 복합적인 복지 상담부터 지역자원과 연계한 맞춤형 솔루션까지 '복지상담 전문관'이 원스톱으로 해결해준다.

이를 위해 오는 2018년까지 25개 자치구 전체에 사회복지‧방문간호 인력 2배로 증원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복지 서비스 패러다임을 주민의 신청을 받아 제공하는 방식에서 찾아가는 복지로 본격 전환, 어려움에 처한 시민들의 복지를 끝까지 책임지고 주민 삶 곳곳의 복지사각지대를 완전히 해소해 나가겠다고 22일 밝혔다.

5대 변화는 ▲보편적 복지 대상 확대 ▲나만의 복지 플래너가 촘촘히 찾아가는 관리 ▲복지상담전문관이 어려움 듣고 해결 ▲
주민 주도 마을생태계 지원 ▲주민센터 공간 탈바꿈이다.

먼저 기존의 복지대상자인 빈곤‧위기가정은 물론 65세 이상 도래 어르신, 출산가정 누구나 찾아가는 보편적 복지 서비스를 받는다.

특히 노령층 최초 진입 연령인 65세 도래 어르신과 출산가정은
서울시가 이번에 전국 최초로 찾아가는 복지 수혜대상에 포함시켰다.

예를들면 복지플래너와 방문간호사가 직접 찾아가 출산가정에는 산모‧신생아 건강평가부터 육아 교육, 산후 우울 스크리닝은 물론 보육정보 안내, 서비스 제공까지 종합 관리해준다.

65세 도래 어르신에게는 혈압‧혈당‧우울‧치매‧허약 등의 건강상태를 지속적 방문 체크하고 노후복지 안내 및 상담 등 희망하는 모든
주민에게 찾아가는 복지를 실현한다.

어르신의 경우 건강위험도에 따라 맞춤형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건강위험도가 매우 높을 경우 집중관리군으로 분류해 1-2주에 1회씩, 건강위험도가 조금 높은 어르신은 2개월에 1회 이상, 비교적 건강한 어르신은 3-4개월에 1회 이상 정기적으로 가정방문하게 된다.

또 대상별 전문가 상담 및 치료 서비스도 연계서비스 한다. 임산부의 산후 우울 위험도가 높을 경우 정신건강증진센터에 의뢰하거나 어르신이 치매‧우울 위험도가 있을 경우 치매지원센터와 정신건강증진센터에 연계하는 등의 방식이다.

주민센터 전 직원이 '우리동네 주무관'이 되어 자신이 맡은 구역의 복지사각지대 발굴부터 실제 복지 서비스 연계까지 책임감 있게 관리한다.

'우리동네 주무관'은 통·반장, 나눔이웃 등과 함께 전담 구역을 정기적으로 시찰,
주민의 욕구를 파악하고 관련 민원을 처리하는 주민생활을 살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아울러, 기존에는 복지 서비스 상담을 기초연금, 장애인수당, 기초생활수급 등 각 제도별로 받아했다면 이제는 복합적인 복지 상담부터 지역자원과 연계한 맞춤형 솔루션까지 '
복지상담 전문관'이 원스톱으로 해결해준다.

이러한 복합서비스는 달라지는
주민센터 체계에서는 전국 최초로 동 단위 사례관리가 이뤄지기 때문에 가능한 것으로, 의료기관, 학교, 지역단체, 마을변호사‧세무사 등 지역사회 모든 자원과 협력해 민원인에게 최적의 종합적인 복지서비스를 연계‧제공한다.

예를들면 비정규직으로 바쁘게 일하느라 초등생 자녀에게 적절한 케어를 해주지 못하고 있는 한부모가정의 경우,
주민센터는 사례 관리를 통해 복지서비스, 학교에서는 방과 후 학습지도, 동네 병의원과 보건소에서는 정서 심리상담과 건강관리 등을 받을 수 있도록 복지상담 전문관이 지원을 연계해주는 식이다.

이외에도 지역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려는
주민들의 활동을 마을 자원 연계부터 시‧구‧주민 사이 메신저 역할까지 주민센터가 거점이 되어 지원한다.

우리동네주무관은 통‧반장, 동네상인, 민간복지관, 마을변호사와 세무사 등 마을의 다양한 자원을 모아 연계하는 역할을 한다. 관련 경험이 있는 민간전문가인 마을사업전문가는
주민들이 세운 마을계획이 행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행정과 주민 사이의 매개체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주민센터의 획기적 변화가 차질 없이 이뤄지도록 서울시는 총 606명(500명 사회복지담당 공무원, 106명 방문간호사)을 충원했다.

이 중 사회복지담당 공무원 73명은 향후 사업 확대를 고려해 현재 사업을 시행하지 않는 구에 배치했으며, 따라서 13개 자치구 80개 센터별로 평균 6.7명(일부 방문간호사는 보건소에 배치)이 보강됐다.

1단계 사업 대상은 13개 자치구 중 4개 구(성동‧성북‧도봉‧금천)는 전
주민센터(61개)에서, 나머지 9개 구(종로‧노원‧은평‧서대문‧마포‧양천‧구로‧동작‧강동)는 2~3개 주민센터(19개)에서 우선 시행한다.

시는 향후 3년 동안은 현재의 2배 수준인 2450명을 추가로 증원해 '찾아가는
주민센터'를 2018년까지 전 자치구 총 423개 동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출처: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CRPD에서 돌봄통합까지 장애인 정책의 연속성과 확장」 정책토론회 성료!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7.30 615
1983 [자립생활] 장애인연금 받는 중증장애인 1만명 더 늘어난다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5.08.31 2446
1982 [자립생활] '육아부터 문화까지' 서울 여성정책 가이드북 발간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5.08.31 2442
1981 [자립생활] 서울시어린이병원 "장애어린이 보장구 빌려드립니다"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5.08.31 2298
1980 [자립생활] 8월 3일부터 희망키움통장 3차 모집 실시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5.08.04 2102
1979 7월부터 달라지는 서울시정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5.07.30 2417
1978 [자립생활] 하반기 공공건설임대주택 3만6천가구 공급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5.07.29 2308
1977 내년 4인가구 생계급여 최대 9만원 늘어난다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5.07.28 1963
1976 [자립생활] 4인가구 월소득 220만원 교육ㆍ127만원 이하 생계 급여 지급(종합)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5.07.28 2269
» [자립생활] 상담전문관 통해 복지서비스 원스톱 ‘해결’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5.07.23 2508
1974 서울장애인콜택시 '자동배차시스템' 도입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5.07.21 2189
1973 [자립생활] 10월부터 저소득층 기저귀ㆍ분유값 일부 지원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5.07.20 2294
1972 [자립셍활] 복지부, 읍면동에 '건강생활지원센터' 설치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5.07.20 2287
1971 [보조공학] 2015년 정보통신보조기기 임대사업 신청자 모집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5.07.15 2630
1970 [보조공학]2015 장애인 보조기구(유모차형 휠체어) 지원사업 공고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5.07.15 2957
1969 [보조공학] <강동> 금호건설 후원, 뇌병변/지체 장애아동을 위한 보행보조기구 지원사업(15.7.15~8.15)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5.07.15 2896
1968 [자립생활] "고속·시외버스, 휠체어 승강설비 갖춰야"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5.07.10 2278
1967 [자립생활] 국립중앙도서관, 11월까지 찾아가는 장애인 독서운동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5.07.10 2274
1966 [자립생활] 문화누리카드 발급기간 올해 연말까지로 연장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5.07.08 2406
1965 [자립생활] LH, 다가구 매입임대 미임대 물량 951가구 모집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5.07.08 2312
1964 [자립생활] LH, 올해 하반기 국민임대 2만6천여가구 공급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5.07.08 2423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