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공지사항

장애노인에게 ‘활동지원제도’는 없다
선택권 없이 노인장기로 전환…월 311시간 축소
이언주 의원, “인간다운 삶 위해 선택권 보장” 촉구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3-10-11 11:09:28
월(月) 활동보조서비스시간.ⓒ이언주의원실
▲월(月) 활동보조서비스시간.ⓒ이언주의원실
만 65세 이상 장애노인 4명 중 1명은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장애인활동지원이 중단되고 노인장기요양으로 전환, 기존의 장애인활동보조지원이 최대 월 311시간 줄어든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언주 의원(민주당)에 따르면, 만65세 이상 장애인활동지원자격이력을 가지고 있는 장기요양서비스 인정자는 지난 2011년 11월부터 올해 6월까지 총 1542명이다.


그 중 노인장기요양보험수급자는 373명으로 전체 24.1%. 즉, 만65세 도래로 노인장기요양보험수급자로 분류돼 활동보조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장애노인 4명 중 1명이 이에 해당한다.


그리고 금년도 활동보조서비스를 받고 있는 만60~64세 장애노인은 3569명이다. 하지만 이들 중 누군가는 만 65세 도래로 지속적인 활동보조서비스를 받을 수 없게 된다.


앞서 지난 2011년 10월 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가 장애인활동지원제도로 변경되면서 ‘만65세가 도래했으나, 장애 특성상 활동지원급여가 적절하다고 판단해 활동지원급여를 계속 희망하는 경우’에는 활동지원을 계속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즉, 2012년 당시에는 만 65세 도래자가 본인이 원하는 사업을 선택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하지만 2013년 1월 활동지원제도의 내용은 만 65세 이후에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따른 장기요양급여를 받지 못하게 된 사람으로서 장애 특성상 활동지원급여가 적절하다고 판단돼 활동지원급여를 희망하는 경우’로 변경됐다.


이는 노인장기요양서비스에서 “등급외” 판정을 받은 자에 한해서만 활동지원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


이에 복지부는 만 65세 도래 장애노인에게 선택권이 있었던 2012년 기간에 장애활동지원제도 대신 당시 바우처 시간이 최대 95시간 적은 장기요양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는 거의 찾기 힘들 것이라고 언급했다.


하지만 서비스 선택권이 없어진 현재, 만65세 이전에 활동지원서비스를 받던 장애노인이 노인장기요양서비스 등급 판정을 받게 되면, 이전보다 줄어든 서비스 시간과 힘겨운 사투를 벌이는 수밖에 없다는 것이 이 의원의 지적.


이 의원은 “‘노인’이라는 이유로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가 필요한 사람에게 노인장기요양서비스 대상으로 놓는 것은 장애에 대한 몰이해에서 시작된 정책”이라며 “만 65세 도래 장애노인에게 자신의 장애 특성과 환경에 맞는 서비스를 이전과 같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해 만 65세가 도래하는 장애인들이 미래를 두려워하지 않고, 인간다운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이슬기 기자 (lovelys@ablenews.co.kr)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CRPD에서 돌봄통합까지 장애인 정책의 연속성과 확장」 정책토론회 성료!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7.30 1085
공지 2025 Good Job 자립생활센터 사업 안내 및 사업 참여자 모집 안내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2.28 1164
공지 [사단법인 해냄복지회] 서울주택도시공사'ESG 경영 모범 협력사' 선정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4.10.11 635
공지 활동지원급여 부정수급 예방 안내문 사회서비스부 2024.06.28 1530
663 강남구 보조공학서비스센터 전시장 리뉴얼 안내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8.27 49
662 2025 장애인 전환재활코디 양성교육 참여자 모집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8.19 45
661 [보조공학] 보조기기 기증해 드립니다 (수시 업데이트_25.09.04.)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8.19 60
660 "나는 해낼 수 있다" - 동료상담 선생님의 희망 이야기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8.19 34
659 [칼럼] 장애인의 자립생활과 사르트르 실존주의 - 자유를 향한 실천의 철학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8.12 29
658 2025 사회복지현장실습 신청 마감 안내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8.01 83
657 7/28 UNCRPD 장애인 정책의 연속성과 확장 토론회 개최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7.16 859
656 2025년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차 추가경정예산서 공고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7.01 104
655 [보조공학] 보조기기 기증 사업 안내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6.26 140
654 2025년 지원고용 위탁사업 참여자 모집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6.10 163
653 [Mstage 후원] 2025 무료 뮤지컬 관람 신청 안내 (추가 모집)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5.28 238
652 2025년 개인별자립생활지원 “나 디자인” 참가자 모집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5.21 244
651 5/22(목), 5/23(금) 사무실 부재 안내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5.20 184
650 제6회 Good Job장애인 보치아 대전 개최 안내[선수단모집마감]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4.17 436
649 [보조공학] 2025년 배터리 지원 사업 안내 file GoodJob정보안내 2025.04.16 172
648 2025 동료상담 참여자 모집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4.15 211
647 오진욱교수의 문화다양성 사고 넓히기 교육 진행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3.28 238
646 2025 전환재활 정책제안 세미나 진행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3.28 222
645 2024 센터 및 활동지원 결산서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3.28 139
644 2024년도 후원금품 수입 및 사용결과보고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3.26 156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