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보제공

대중교통 유니버설 디자인화, 안전보행 환경 조성
개별이동수단 지원 강화, 장애인 콜택시 개선 등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 산하 ‘장애인 이동권 특위(이하 특위)’가 출범 후 3개월 간 활동하며, 마련한 장애인 이동권 확보를 위한 정책을 발표했다.
방문석 특위 위원장은 2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통해 “원하는 때에 원하는 수단으로 원하는 곳까지 자유롭게 이동하자는 전제하에 다섯 가지 제안을 어제 대통령에게 보고했다”고 밝혔다.
5가지 제안은 올해 9월 6일 특이 출범 이후 10명의 위원들이 14차례의 정례회의, 현장방문 등을 통해 마련한 것으로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 장애인콜택시 개선, 개별이동수단 지원 강화, 대중교통 유니버설 디자인화, 장애친화적인 이동편의 증진 인식이다.
구체적으로 보행환경 조성을 위해 앞으로 신축 보도에 무장애 인증을 단계적으로 확대, 길거리 보행에 방해되는 장애물 관리 강화, 보행 내비게이션 기술 활성화를 제안했다.
장애인 콜택시 개선에 있어서는 광역지원센터 역할과 통합예약시스템을 강화해 환승과 연계가 더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제안했다. 현재 문제 되는 지역 간 장애인콜택시 이용 불편을 개선하기 위한 것. 또한 비도시 지역에 장애인콜택시 확충, 휠체어를 사용하지 않는 장애인을 위한 대체택시 이용 제안도 포함됐다.
개별이동수단 지원 강화와 관련해서는 장애인들이 직접 운전하는 장애인 차량 구입·개조 지원 강화, 부족한 장애인 렌터카·전세버스 등 활성화를 제안했다.
대중교통의 유니버설 디자인화 제안은 버스정류장을 어떤 장애가 있어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우리나라의 택시가 영국의 블랙캡 택시처럼 누구나 쓰기 편한 택시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
또한 도시철도 승강기의 경우 현재 ‘1역사 1동선’은 고장이 나면 장애인의 불편이 따르고, 승강기를 타려면 이동 거리가 길어 ‘1역사 2동선’을, 장애 유형에 따라 불편함이 없는 맞춤형 정보제공을 제시했다.
장애친화적인 이동편의 증진 인식과 관련해서는 종사자나 운전원에 대해 온라인 교육 외에도 체험교육 의무화, 일반 시민들의 장애인식 확산 방안을 제안했다.
방문석 특위 위원장은 “(어제) 현장에서 주무부서인 국토교통부와 보건복지부 장관도 적극적으로 제안한 것들에 동의하며 앞으로 정책에 반영할 것이라고 이야기했다”면서 “특히 복지부는 현재 수립 중인 6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에 반영하도록 하시겠다는 긍정적인 답변을 했다”고 설명했다.
출처 :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050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27 전국 ‘저소득 희귀질환아동 맞춤형 보조기기’ 지원‥4월 12일까지 접수 file 동료상담 2023.04.07 119
2926 세계 안내견의 날 맞이 ‘장애인 권익 증진 웹툰’ 제작·배포 file 동료상담 2023.04.07 192
2925 2023 중증장애인 스마트 홈 지원사업 안내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3.03.27 287
2924 장애인이 차별 가장 많이 경험한 상황은 ‘이것’ 동료상담 2023.03.15 245
2923 중증장애인 등 ‘근로·자녀장려금 자동신청 제도’ 시행 동료상담 2023.03.15 158
2922 야구·축구장 장애인 편의시설 이용 불편해요 동료상담 2023.03.15 164
2921 제6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2023.03.09)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3.03.14 152
2920 2023년 신입 장애대학생에 노트북을 드립니다 file 동료상담 2023.03.09 112
2919 2023 한국뇌성마비복지회 뇌성마비인 지원 사업 안내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3.03.07 190
2918 2023 스마일재단 장애인 구강 지원 사업 안내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3.03.07 166
2917 전장연 ‘지하철 행동’ 멈추고 시민 상대 선전전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3.02.20 135
2916 올해 중증장애인 국가공무원 64명 선발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3.02.16 125
2915 장애인공단, ‘공공기관 장애인 고용관리 가이드북’ 발간 동료상담 2023.02.08 186
2914 복지부, ‘사회서비스고도화추진본부’ 설치·운영 동료상담 2023.02.08 129
2913 베일 벗은 ‘제6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안’, 쏟아진 지적 동료상담 2023.02.08 254
2912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가상체험관 ‘i-UT’ 공개 동료상담 2023.02.08 225
2911 인권위, 유엔장애인협약 풀어쓴 설명자료 발간 동료상담 2023.02.08 130
2910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법제화 신호탄 켜졌다 동료상담 2023.02.08 195
2909 다가오는 죽음의 카운트다운을 멈춰주세요 동료상담 2023.01.13 128
» 국민통합위, 장애인 이동권 확보 5가지 정책 제안 동료상담 2023.01.13 16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