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보제공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법제화 신호탄 켜졌다
장애인복지시설 조항에 포함, 장복법 개정안 발의 한자연 “자립생활 큰 역할 기대…조속히 심의돼야”

[이슬기 기자/입력 2023.01.26 14:00]

 


IL계의 숙원이던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법제화가 담긴 법안이 국회에 제출되자, 장애계에서 두 손 들고 반겼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이종성 의원(국민의힘)과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총연합회(한자연)는 26일 국회 소통관에서 이 같은 내용의 장애인복지법 일부개정법률안 발의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날 이종성 의원이 발의한 개정안은 장애인복지법 제58조 ‘장애인복지시설’ 조항에 장애인자립생활센터를 포함하는 내용이다.
구체적으로 ‘장애인자립생활지원시설’로 장애인 자립생활 역량 강화 및 동료상담, 지역사회의 물리적·사회적 환경개선 사업, 장애인 인권의 옹호?증진, 장애인 적합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로 정의됐다.
장애인자립생활센터(IL센터) 법제화는 한자연을 중심으로 한 IL계의 숙원이기도 했다.

 

 


IL센터는 장애인의 자립생활 실현을 위해 당사자 중심에 입각한 각종 장애인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사회 비거주시설 전달체계로, 현재 전국 300여 개가 운영되고 있다.
수년간 권익옹호, 동료상담, 개인별자립지원, 탈시설 및 주거지원, 활동지원사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성과를 이뤘지만, 장애인복지법상 장애인복지시설로 명시되지 않아 센터 운영 및 관리, 재정지원 등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실제로 사회복지사업 수행기관으로 인정되지 못함에 따라 지방 주민세 부과 사례 발생 및 사회복지 현장실습 비인정, 사회복무요원 파견 취소와 얼마 전까지는 사회복지경력 불인정 등의 문제가 지속해서 나타난 바 있다.

 

 


이종성 의원과 한자연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2007년 장애인복지법 개정을 통해 법적 진입은 확보됐지만, 제58조 복지시설에 명시되지 않아 IL센터가 실질적으로 그 역할과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고, 전달체계로서 인정받지 못했다”면서 “장애인복지시설의 지원 근거 조항인 비용보조에도 적용되지 않아 재정지원의 차별도 발생하고 있다”고 현 실태를 꼬집었다.

 


이에 “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서 강조하는 장애인 인권 및 주거권 보장에 관한 내용은 장애인 탈시설화 및 지역사회 자립과 관련 있으며 이 사업은 IL센터의 기본사업이다.
IL센터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은 더욱 강화되고 있는 시점”이라면서 “더이상 IL센터의 장애인복지시설 전환에 관한 소모적 논쟁을 멈추고, 당당히 복지시설로 편입해 다른 기관과 차별화된 고유한 역할이 있음을 분명히 해 장애인의 자립생활에 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나아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현장에 자리한 장애계 관계자들도 이 의원의 개정안 발의에 환영을 표하며, 국회에서의 조속한 심의를 촉구했다.

 

 


한자연 황백남 상임대표는 “장애인복지법은 다양한 제도적 받침이 필요함에도 장애인거주시설과 이용시설 체계로만 돼 있다. 이제 거주시설, 이용시설, 지원시설 3개로 개정돼야 한다.
정부의 최근 5?6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들은 자립생활을 필두로 하고 있다”면서 “이번 법 개정을 통해 모든 장애인의 자립생활이 가능한 환경을 제대로 갖추길 희망한다. IL센터도 전달체계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다 해야 할 것”이라고 환영했다.

 

 


한국장애인연맹 이영석 회장도 “우리나라에서 장애인자립생활 이념이 전파된 지 23년이 흘렀다. 그 중심에는 IL센터가 많은 역할을 했지만, 법적 테두리 안에 들어가지 못해 지역 장애인들이 복지서비스를 받게 하는 데 여러 어려움이 있는 것이 현 실정”이라면서 “단순히 복지체계 구축뿐 아니라 법적 근거로 인해 흔들림 없는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출처: http://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097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27 전국 ‘저소득 희귀질환아동 맞춤형 보조기기’ 지원‥4월 12일까지 접수 file 동료상담 2023.04.07 119
2926 세계 안내견의 날 맞이 ‘장애인 권익 증진 웹툰’ 제작·배포 file 동료상담 2023.04.07 192
2925 2023 중증장애인 스마트 홈 지원사업 안내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3.03.27 287
2924 장애인이 차별 가장 많이 경험한 상황은 ‘이것’ 동료상담 2023.03.15 245
2923 중증장애인 등 ‘근로·자녀장려금 자동신청 제도’ 시행 동료상담 2023.03.15 158
2922 야구·축구장 장애인 편의시설 이용 불편해요 동료상담 2023.03.15 164
2921 제6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2023.03.09)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3.03.14 152
2920 2023년 신입 장애대학생에 노트북을 드립니다 file 동료상담 2023.03.09 112
2919 2023 한국뇌성마비복지회 뇌성마비인 지원 사업 안내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3.03.07 190
2918 2023 스마일재단 장애인 구강 지원 사업 안내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3.03.07 166
2917 전장연 ‘지하철 행동’ 멈추고 시민 상대 선전전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3.02.20 135
2916 올해 중증장애인 국가공무원 64명 선발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3.02.16 125
2915 장애인공단, ‘공공기관 장애인 고용관리 가이드북’ 발간 동료상담 2023.02.08 186
2914 복지부, ‘사회서비스고도화추진본부’ 설치·운영 동료상담 2023.02.08 129
2913 베일 벗은 ‘제6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안’, 쏟아진 지적 동료상담 2023.02.08 254
2912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가상체험관 ‘i-UT’ 공개 동료상담 2023.02.08 225
2911 인권위, 유엔장애인협약 풀어쓴 설명자료 발간 동료상담 2023.02.08 130
»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법제화 신호탄 켜졌다 동료상담 2023.02.08 195
2909 다가오는 죽음의 카운트다운을 멈춰주세요 동료상담 2023.01.13 128
2908 국민통합위, 장애인 이동권 확보 5가지 정책 제안 동료상담 2023.01.13 16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