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보제공

장애인 전동휠체어 등 급여지급금액 기준 체계 마련 시급

전동보조기기 급여 18년 만에 인상‥“3년·5년마다 급여액 조정해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강은미 의원(정의당)은 지난 18일 건강보험공단 국정감사에서 “장애인 전동휠체어 등 급여지급금액 기준 체계를 마련하라”고 지적했다. 건강보험공단은 올해 6월 18년 만에 전동휠체어 등 전동 보조기기 금액 인상계획을 발표했다. 급여 인상액은 오는 11월 20일 시행 예정이다. 전동휠체어의 경우 신설된 옵션형은 380만 원이 지원되며 일반형은 기존 209만 원에서 236만 원으로, 전동스쿠터는 기존 167만 원에서 192만 원으로, 전지는 기존 16만 원에서 19만 원으로 인상됐다.


그동안 일반형 전동휠체어만 구입할 수 있었는데 이번에는 중증장애인의 욕창 예방을 위해 자세변경 장치가 장착된 옵션형이 신설됐다. 강은미 의원은 “보행이 불가능한 장애인들이 일반형 전동휠체어를 타는 것은 일반석 비행기를 매일 4시간에서 10시간 타는 것과 같다”며 “전동휠체어 지원을 6년에 한번 해주는데, 일반형과 옵션형의 차액이 144만 원이다.  한 달에 단돈 2만 원, 1년에 24만 원만 더 지원을 해줘도 전동휠체어 타는 장애인은 매일 10시간씩 일반석 비행기를 타다가 비즈니스석 비행기로 갈아타는 효과가 있다.  매년 지급자수 2,000여 명 1년에 25억으로 옵션형이 일반적으로 공급되도록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많은 사용자가 요청하고 있는 수·전동 휠체어 품목을 급여제품에 추가하는 것도 필요하다”는 지적에 건강보험공단 정기석 이사장은 “검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강은미 의원은 “장애인에게 안정적인 이동권과 일하면서 2시간에 한 번씩은 쉴 수 있는 권리를 주는 것은 기본권이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차이를 더 좁힐 수 있는 사회를 어떻게 이룰지 고민해달라”고 주문했다.


마지막으로 “지난 18년간 물가도 상승하고 장비값도 올랐다”며 “그런데 전동휠체어값은 그대로였다. 전동휠체어 등 전동보조기기 급여가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해서 3년 또는 5년 단위로 급여액을 조정하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지침 등을 만들어서 정기적으로 물가 반영하고, 구체적인 계획을 마련하라”고 말했다. 이에 정기석 이사장은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 에이블뉴스(https://www.ablenews.co.kr)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CRPD에서 돌봄통합까지 장애인 정책의 연속성과 확장」 정책토론회 성료!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7.30 12
2999 장애·비장애 공존 위한 문화예술 활동 뭐가 있을까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4.01.08 218
2998 김해공항에 직항이 있어도, 휠체어 타고 여행갈 수 없다?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4.01.08 248
2997 밀알복지재단 ‘신장이식 수술비 지원사업’을 아시나요?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4.01.08 232
2996 중증장애인 근로자 출퇴근 비용 지원 ‘우체국 동행 카드’ 출시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4.01.08 217
2995 한국장총, ‘2024년 장애계 5대 정책과제’ 선정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4.01.08 116
2994 기후동행카드 시범사업 소개(24.1.27.~6.30.) file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3.12.20 183
2993 장애인 버스 이용 가로막는 열악한 ‘버스정류소’ 현실 동료상담 2023.11.23 211
2992 소소한소통, 발달장애인 등 의사소통 돕는 ‘쉬운 이모티콘’ 출시 동료상담 2023.11.23 109
2991 교통약자, 플랫폼 택시 이용 지자체 지원 추진 동료상담 2023.11.23 239
2990 전국 저상버스 의무도입 이행률 절반 수준 낙제점 동료상담 2023.11.23 249
2989 횡단보도 폭 맞춰 경계턱 낮추고, 위험장소 점자블록 설치 동료상담 2023.11.23 126
2988 이종성 의원 "장애인 복지 발전에 '자립생활센터 법적 지위' 개정안 반드시 통과돼야 동료상담 2023.11.23 214
2987 점자블록이 시각장애인에게 진정 도움이 되려면 동료상담 2023.10.30 229
2986 행안부, AI 데이터 분석으로 장애인 등 교통약자 이동권 강화 동료상담 2023.10.30 134
2985 장애인공단 국감, 내년 보조공학기기 10퍼센트 자부담 신설 ‘질타’ 동료상담 2023.10.30 121
2984 조명희 의원, 장애인 활동지원급여 인증 ‘생체정보’ 활용 시급 동료상담 2023.10.30 292
» 장애인 전동휠체어 등 급여지급금액 기준 체계 마련 시급 동료상담 2023.10.30 220
2982 건보공단 ‘본인부담상한제 환급금’ 10년 동안 257억 소멸 동료상담 2023.10.30 237
2981 장애인재단, ‘제13회 장애 관련 번역 도서 추천 공모’‥10월 30일까지 동료상담 2023.10.05 156
2980 “한국 사회 장애의 본질?특수성에 대한 공적 논의 확대 돼야” 동료상담 2023.10.05 11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