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보제공

 

성공이 아닌 성장에 주목하는 영화

 

영화 라라걸로 보는 편견과 차별 그리고 장애_1.jpg

   ▲ 영화 라라걸 포스터. ⓒ다음 영화       
국내 제목 '라라걸', 원제 'Ride Like a Girl 소녀처럼 타라'의 이 영화는 3,200m를 달려야 하는 155년 역사를 자랑하는 호주 멜버른컵에서 2015년에 우승한 최초의 여성 기수 미셸 페인의 이야기다.

즉 실화다. 이 영화가 놀라운 건 불과 5년 전의 최근의 이야기가 영화화되었다는 것이다. 또 10명의 형제자매가 등장하는 것도 그렇지만 더 깜짝 놀라운 건 성차별과 편견이 아무렇지 않게 회자되고 있다는 점이다.

불과 5년 전의 이야기인데 말이다. 심지어 딸을 지키려 했다지만 아빠 역시 계속 우승하는 미셸보다 오빠에 더 기대를 건다. 남성 우월에 관한 차별이 당연하다고 여긴다.

여기에 주인공 미셸(테레사 팔머)의 든든한 조력자인 오빠 스티비(스티비 페인)에 대한 시선 역시 장애인을 바라보는 관점이 여전히 보호의 대상으로 평가절하된다는 점이다.

말과 소통의 능력을 단순히 "다운증후군이니 괜찮다"라고 하거나 '보호자(아빠 혹은 미셸)가 죽으면 자신은 어떻게 되는가'에 대한 질문은 보호자가 없으면 독립적인 존재로는 무언가 부족하다는 편견 어린 시선이 너무 당연하다.
그가 이미 조련사로 충분히 역량을 보여주고 있음에도 자신의 삶에서 주체적이지 못하다.

영화 라라걸로 보는 편견과 차별 그리고 장애_2.jpg
  
  ▲ 영화 라라걸의 한 장면. ⓒ다음 영화       
물론 영화는 아주 훌륭하다. 편견과 차별을 투쟁에 가까운 에너지로 소모하지 않으면서 잔잔하고 힘 있게 그리고 당연하게 받아들이도록 성장하게 만든다. 편견과 차별에 맞선 여성 기수의 성공 드라마가 아닌 그것을 넘어서는 인내와 최선으로 충분히 성취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멜버른컵은 여성은 '참가'할 수 없다에서 '우승'할 수 없다고 자세를 낮춘 것으로 이미 미셸은 성장하고 있다.
그리고 미셸이 '아빠의 꼬맹이'에서 박차고 나가 '독립적인 꼬맹이'가 되는 것처럼 스티브 역시 가족의 도움을 받기만 하던 '다운증후군 스티브'에서 혼자의 일을 혼자 결정할 수 있는 지점 '괜찮아 기차 타고 가면 돼'라는 성장은 충분히 이 영화가 보여줄 수 있는 모든 것이 아니었을까 싶다.

또한 말이 질주하며 보여주는 강력한 근육의 다이내믹한 말발굽 소리는 가슴을 방망이질하게 만들며 엔도르핀을 멈추지 않게 만든다. 여기에 말과 교류하는 미셸과 스티브의 모습에는 경마가 단순히 말에 올라타고 달리는 게 아닌 함께 하는 벅찬 감동을 주기도 한다.
 
영화 라라걸로 보는 편견과 차별 그리고 장애_3.jpg

   ▲ 영화 라라걸의 한 장면. ⓒ다음 영화       


부당하고 불편한 제도에 순응하지 않고 최선을 다하고 인내하면 반드시 기회가 온다는 조언은 결국 지키는 자의 기회다. 반면 기다리지 못하고 자신의 능력으로 기회를 찾아내는 미셸을 통해 어쩌면 살짝 무모한 충고일지도 모르지만 결국 삶은 자신이 만들어 가야 한다는 이야기를 하는 건 아닐까 싶다.

오랜만에 가슴 벌렁거리는 영화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칼럼니스트 정민권 (djanmode@naver.com)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91 장애로 위험에 내몰리는 사회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0.15 419
» 영화 '라라걸'로 보는 편견과 차별 그리고 장애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0.15 416
2589 취약계층 지원 마스크 질이 왜 이래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0.13 423
2588 진정 장애인 대변하는 비례대표로 임해주길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0.13 510
2587 직접 부딪히는 용기 필요했던 해외여행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0.13 481
2586 장애인 안심 밴드의 필요성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0.12 455
2585 자폐성향 보이는 아이 행동 가정에 알려야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0.12 475
2584 이동권이 보장되지 않는 나라 대한민국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0.12 531
2583 우리의 삶을 이용하지 말아요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0.10 443
2582 어느 여고생의 사고 소식을 듣고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0.10 543
2581 선의의 폭력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0.10 429
2580 장애인 부정인식 조장하는 언론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0.07 502
2579 장애가 가정의 위기가 되지 않도록..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0.07 479
2578 신체의 장애가 마음의 장애를 의미하진 않아요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0.07 398
2577 선입견이 편견과 차별로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0.06 494
2576 복지부가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죽이고 있다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0.06 466
2575 발달장애인 노동자도 결국 경력개발 해야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0.06 374
2574 모든 아이들에게 선생님의 관심과 애정을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0.05 511
2573 동병상련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0.05 526
2572 4월 이야기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0.05 493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