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보제공

필자가 알고 지내온 부부가 이혼을 하게 되었다. 아이도 아직 어린 데다가 평소 전혀 그런 낌새가 없었던 터라 소식을 듣고 깜짝 놀랐다.

이혼을 원한 쪽은 부인이고 남편은 아내의 마음을 돌리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었나 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내의 마음에는 변함이 없었던 것 같다. 이 소식을 듣고 남편과 이런저런 얘기를 하는데 남편이 불쑥 이런 말을 한다.

", 착한 사람이었는데 어찌 그리 변했을까?"

다양한 인간관계를 맺고 사는 우리는 부지불식간에 상대에게 상처를 주거나 상처를 받으며 살아간다. 타인을 힘들게 하거나 상처를 주면 그 사람은 무조건 나쁜 사람일까? 물론 고의적 계획적으로 타인의 심신을 힘들게 하는 사람도 있다. 그런 사람은 나쁜 사람이 맞다.

하지만 가만 생각해 보면 우리 일상에서 경험하는 섭섭함이나 속상함은 아무리 상대를 나쁘게 보려해도 그런 것들이 고의나 계획에 의한 것이 아님을 우리는 알고 있다.

결국 타인에게 상처를 주는 것은 나쁜 사람이어서가 아니라 상대에 대해 알지 못하기 때문인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다. 알지 못함에서 기인한 말과 행동으로 상처를 받고 상대는 자신은 그런 의도가 아니였는데 그걸 알아주지 않는다고 또 섭섭해하거나 기분 상해한다.

표면적으로 보면 특정 말이나 행동이 발단인 것처럼 보이지만 근원은 서로에 대해 알지 못함이 이유일 때가 많다. 그리고 우리는 그것을 오해라고 말한다. 오해는 풀게 되면 그 관계는 다시 회복되거나 더 좋아지기도 한다.

그런데 장애인과 비장애인간의 오해는 풀기가 힘들다. 장애인의 입장을 경험하지 못한 비장애인들은 역지사지의 마음으로 공감하기가 힘든 것 같다. 그렇게 풀리지 않은 오해는 장애인에 대한 선입견과 편견이 되고 그 간극은 좀처럼 좁혀지지 않는다.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로 장애인들은 상처받고 억울하지만 그렇다고 그런 행동을 하는 비장애인을 나쁜 사람이라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

실명 전 20대 초반 한창 멋을 부리고 다닐 때 필자는 지하철 역사를 걸을 때면 항상 투덜거렸다. 역사 여기저기 깔려있는 점자블록 때문에 걷는 게 불편했고 내 뾰족구두가 망가지는 게 속상했기 때문이다. 점자블록 때문에 투덜거리는 필자 옆에 시각장애인이 있었다면 얼마나 기분이 나빴을까?

점자블록이 시각장애인의 보행을 위한 거라는 사실은 알았지만 역사 곳곳에 설치되어야 하는 이유는 시각장애를 갖고 직접 체득한 후에야 알게 되었다. 사람을 굳이 착한 사람과 나쁜 사람으로 구분 짓는다면 그 당시의 필자는 나쁜 사람인 셈이다.

상대가 어떤 입장인지, 상대가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상대가 어떤 상황에 있는지 알지 못하기에 우리는 상대에게 상처를 준다. 알지 못하는데 어떻게 상대를 이해하고 배려할 수 있을까?? 배려의 시작은 상대에 대해 알려는 마음부터가 아닐까 생각한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칼럼니스트 김경미 (kkm75@kbuwel.or.kr)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CRPD에서 돌봄통합까지 장애인 정책의 연속성과 확장」 정책토론회 성료!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7.30 16
2619 일상생활까지 아우르는 장애인 건강권법 기대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07 489
2618 이종성, '내가 장애인차별? 인권위 판단해달라'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07 480
2617 양천구, 장애인 주차구역 IOT 무인단속시행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07 432
2616 의료수어통역은 농인 생명 살리는 골든타임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04 492
2615 유아특수교사, 보육교사 복지증진 고려해야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04 438
2614 수도권 주민센터, 잘못된 시각장애인 편의시설 방치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04 516
2613 선거권은 장애인만의 문제가 아니다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1.24 444
» 상대에 대한 알려는 마음이 배려의 시작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1.24 437
2611 사회적 소수 차별하는 기재부, 인권 감수성 필요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1.24 415
2610 독서의계절, 장애인 무료 책배달 '책나래' 이용 해보세요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1.09 368
2609 결격사유 아닌, 사람으로 장애인을 바라보길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1.09 356
2608 강릉 경포해변 무장애 여행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1.09 414
2607 코로나19시대 발달장애인 공공분야 면접 도전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1.06 354
2606 코로나19로 힘겨운 시간을 보내는 이들에게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1.06 367
2605 캐나다 장애인식개선 활동가 십대 '타이 영'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1.06 442
2604 척수장애인의 절규 '병원 밖으로 나가고 싶다'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1.04 516
2603 지나가는 시간들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1.04 395
2602 존재를 부르는 행위, '이름짓기'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1.04 445
2601 점자를 모르는 시장애인도 많아요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1.03 439
2600 장애인이 자가격리나 코로나 확진을 받게 되면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1.03 464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