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보제공

장애인학대 하루 평균 3, 대부분 집·시설서 발생

올해 8월말 기준 1365건 신고, “면밀한 관리체계 구축

 

장애인 학대가 지난 2년간 하루 평균 3건꼴로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10건 중 7건이 집과 시설에서 일어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인재근 의원(더불어민주당) 보건복지부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장애인 학대 범죄가 집계된 이후 2018년부터 2019년까지 학대 의심사례 신고 건수는 3758, 학대 판정사례 건수는 1834건에 달했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8년은 신고 건수 1835건 중 판정 건수 889, 2019년은 신고 건수 1923건 중 판정 건수 945, 2020년은 8월말 기준 신고 건수 1363건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학대
는 지난 2년간 하루 평균 약 3건꼴로 발생했으며 학대 의심사례 건수 중 절반가량이 학대 판정사례인 것으로 확인됐다. 학대 의심사례 신고는 2018년 하루 평균 5.02, 2019년 하루 평균 5.26, 20208월 기준 하루 5.58건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장애인 학대
 피해자는 대부분 지적장애인이었다. 지적장애인 대상 학대는 지난 2년간 발생한 장애인 학대 1834건 중 1210건이었는데, 이는 장애인 학대 65.9%를 차지하는 수치다.

이어 지체장애인 학대128(6.98%), 미등록 장애인 학대 121(6.6%), 정신장애인 학대 105(5.73%), 뇌병변장애인 학대 104(5.67%), 자폐성장애인 학대 59(3.22%), 청각장애인 학대 39(2.13%), 시각장애인 학대 37(2.02%), 언어장애인 학대 19(1.04%), 뇌전증장애인 학대 6(0.33%), 신장장애인 학대 4(0.22%), 안면장애인 학대 2(0.11%) 순이었다.

또 인 의원에 따르면, 지난해 사건이 가장 많이 발생한 곳은 피해자 거주지(310, 32.8%)였으며 이어 장애인거주시설(222, 23.5%), 가해자 거주지(79, 8.4%), 직장 및 일터(76, 8%), 장애인이용시설(73, 7.7%), 상업시설(51, 5.4%), 교육기관(41, 4.3%), 의료기관(30, 3.2%), 기타(18, 1.9%), 파악안됨(12, 1.3%), 종교시설(11, 1.2%) 순이었다.

장애인 학대
 10건 중 7건 이상이 장애인이 생활하는 집이나 복지·교육·의료서비스를 받는 시설에서 발생한 셈.

학대 유형별로는 중복 학대를 제외한 단일 학대로는 경제적 착취(231, 24.4%)가 제일 많았다장애인 학대 범죄 집계 후 지난 2년간 발생한 1,834건의 학대 중에서도 경제적 착취가 417건으로 전체의 22.7%를 차지했고, 이어 신체적 학대(394, 21%), 방임(190, 10.3%), 성적 학대(159, 8.6%), 정서적 학대(158, 8.6%), 유기(9, 0.5%) 순이었다.

인 의원은 신고의무자들이 있는 복지·교육·의료시설 내 학대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복지부가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서 면밀한 관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특히 가장 빈번하게 피해를 입는 지적장애인의 경우 조사과정에서 진술 신빙성이 잘 인정되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하면 더 많은 사례가 있을 것으로 보여, 별도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이슬기 기자 (lovelys@ablenews.co.kr)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31 등급제 폐지 2단계 “장애인끼리 싸우라?”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15 741
2630 대전시 영화관 12곳 '장애인 편의' 미흡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15 682
2629 국감장 “통증장애인 살려달라” 눈물 호소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15 677
2628 코로나19 장애인 긴급지원 필요하다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10 602
2627 코로나19와 장애인직업재활시설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10 471
2626 장애인활동지원 자부담 환급 복지부 뒷짐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10 532
2625 아직 갈길 먼 뇌병변장애인 의사소통 지원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09 532
2624 감염병예방법 시행, 부처·지자체 협의 구체적 방안마련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09 444
2623 계속되는 발달장애인 죽음, '국가 무책임 탓'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09 485
2622 전동휠체어 유감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08 427
» 장애인학대 하루 평균 3건, 대부분 집, 시설서 발생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08 472
2620 중증장애인 '제발 살려달라' 절박한 편지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08 472
2619 일상생활까지 아우르는 장애인 건강권법 기대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07 476
2618 이종성, '내가 장애인차별? 인권위 판단해달라'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07 468
2617 양천구, 장애인 주차구역 IOT 무인단속시행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07 408
2616 의료수어통역은 농인 생명 살리는 골든타임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04 475
2615 유아특수교사, 보육교사 복지증진 고려해야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04 424
2614 수도권 주민센터, 잘못된 시각장애인 편의시설 방치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04 502
2613 선거권은 장애인만의 문제가 아니다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1.24 441
2612 상대에 대한 알려는 마음이 배려의 시작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1.24 421

기관명 : Good Job 자립생활센터 | 대표 : 김재익
고유번호 : 220-82-61664
주소 : (우 0624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8길 36 1~2층
TEL: 02-518-2197 FAX: 02-518-2105 | E-Mail : goodil@hanmail.net

Copyright 2022 Good Job 자립생활센터 All Rights Reserved.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