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보제공

내부 운영·장애인식개선교육·BF인증 질타

최 원장, 사안 하나하나 정리 노력할 것

 

장애인당사자 의원인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과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의원이 21 한국장애인개발원 국정감사에서 내부 운영문제부터 인식개선교육 등 여러 사안에 대해 최경숙 원장을 몰아세웠다.

먼저 이종성 의원은 발달장애인지원센터 운영이 잘 되고 있냐면서 의미심장한 질문을 던진 후 “4년간 개발원 임직원 비리현황 23건 중 17건이 센터 직원이다. 내용도 음주운전, 성희롱 직무기강이 해이해졌다고 작년에 국감에서 지적됐는데 그 이유가 있다면서 “198명 중 95%가 무기계약직이고 지역센터는 법정정원도 대부분 못 채웠다. 평균 재직기간도 11개월, 한달도 못 채운 직원이 13명이나 된다면서 발달장애인지원센터 근무체계 처우 열악 부분을 짚었다.

또한 이 의원은 발달재활서비스 사업질 문제를 들고 나왔다. 이 의원은 사업 예산이 올해 890억원, 내년 950억원이다. 지방비까지 더해지면 1500억원짜리 큰 사업인데 서비스 질 관리가 전혀 안 된다면서 평가가 안 되니까 발달장애인한테 장난감 하나 던져주고 놀아라고 해도 뭘 했는지 모르는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복지부로부터 자격인증업무를 수탁 받아서 하는데, 민간자격증 39000개를 다 판단하고, 5500명 교육시켜야 한다. 제공인력에 대한 사후관리가 필요한데 팀장 1, 팀원 1명 뿐이다. 업무가 제대로 되겠냐고 따져 물었다.

 이종성 의원은 ‘BF(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문제를 국감 테이블에 올려 “10개소 중 6개소는 인증을 안 받는다. 제재조항도 없고, 내년 12200만원 과태료 부과한다고 하는데 인증 수수료 값도 안되는데 잘 되겠냐면서 “8개 기관이 경쟁적으로 사업하다보니까 인증기관이 명확치 않아 어디는 대강하고, 깐깐하다는 것이 건축업계에 소문났다. 편의시설 적정여부 편차가 심하다고 피력했다.

마지막으로 이 의원은 다시금 내부 운영문제를 올리며 “2018~2019년 내부 청렴도가 5등급으로 최하위다. 직원 중 정규직이 20%밖에 안 된다면서 최근 무리하게 직원 해고해 지방노동위에서 부당하다고 판결났는데 조치를 안 해서 이행강제금 825만원, 체불임금 2600만원 지급했다. 공공자금으로 손해 끼쳤다. 처분 내린 사람에 대한 합당한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라고 질타했다.

이 같은 이 의원의 총알 세례에 최 원장은 사안 하나하나 정리해 짤막하게 답변했다.

먼저 지역발달장애인지원센터사안 관련해서는 지자체로 위탁받는 구조며, 설치주체에 따라 운영되는 곳도 있고 운영상 어려움이 많다고 답했다.

발달재활서비스
문제는 예산이 많이 늘어났지만 품질관리가 미비하다. 팀장 하나, 팀원 하나 벅차고 힘든 현실이다. 복지부와 심층적으로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으며, ‘BF인증문제는 “1년에 한번 사후 실태조사를 하고 있지만, 더 철저히 하겠다고 말했다.

마지막 내부 운영지적에 대해서는 다각도로 분석해 청렴클리닉 시행, 부패행위 자진신고기간 운영 등 노력하겠다면서 인력구조 문제는 수탁사업이 많아 무기계약직이 많다. 집중적으로 노력했지만 힘든 상황이다. 더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 원장이 숨 고를 틈도 없이 바톤을 이어받은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의원은 장애인식개선교육문제를 조목조목 짚었다.

최 의원은 장애인식개선교육은 법적 의무교육인데, 3년간 이행률이 65%밖에 되지 않고 교육기간은 절반 밖에 되지 않는다. 작년 기준으로 국회의원 0%, 보좌진 0%. 국회 스스로 돌아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 의원은 교육의 질 문제도 있다. 원격교육이 3배 늘고, 집합교육 비율이 낮아진다. 법적의무교육이 온라인으로 충분하냐고 물은 뒤 어쩔 수 없이 받는 교육, 형식적인 교육이 되지 않도록 신경써야 한다고 질타했다.

아울러 최 의원은 매년 1년에 한번씩 교육을 받으니 기관 대상별 교육이 필요한데, 공식적인 자료는 하나다. ‘인식 새로고침’ 1시간 교육 하나 밖에 없고 대부분 민간이라면서 검증되지 않은 장애인이 되면 불편하다이런 식의 교육이다. 교육 대상과 수준에 맞춘 표준화된 자료가 필요하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51 2024년까지 서울지하철 역사 승강기 100% 설치 file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2.02.03 210
2650 효과적 체육활동·건강생활, 계획표 작성이 ‘첫걸음’ file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2.01.18 194
2649 판교디지털훈련센터, SK㈜ C&C 등 장애인 훈련생 모집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2.01.18 98
2648 ‘개별 맞춤 의사소통 지원 서비스’ 신청자 모집 file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2.01.18 106
2647 원주장복, 장애인·비장애인 라온합창단 신규 단원 모집 file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2.01.18 115
2646 장애인도서관, ‘시각장애인 영어자료 무료 이용지원’ 대상자 모집 file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2.01.18 194
2645 7분야별로 알아보는 장애혜택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1.04.13 499
2644 “상반기내 1200만명 1차 접종, 특수교사 먼저”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1.03.16 574
2643 학대피해 장애아동, 갈 곳 없어 원가정 복귀.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21 764
2642 피해장애인쉼터, 성별구분 없어 '인권침해'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21 698
2641 코로나와 혐오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21 604
2640 코로나블루, 청각장애인 비대면 상담 방안 촉구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18 712
2639 취약계층 300만명, 몰라서 통신료 할인 미적용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18 734
2638 충치치료 장애인구강진료센터 대기기간 1년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18 695
2637 장애인 혐오 일상 속 만연, 해결해야 할 숙제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17 781
» 장애인 의원 총알 세례, 최경숙 '진땀'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17 713
2635 발달장애인 장콜 보조석 거부 '분노'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17 736
2634 지적장애인 2년 간 가둔 '동의입원' 폐해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16 731
2633 졸음쉼터 장애인 편의시설 외면, 이용 그림의 떡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16 736
2632 열린 관광지 시,청각장애인 전자정보 접근성 '미흡'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12.16 74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