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보제공

 장애인 ‘전동휠체어 보험상품’ 본격 출시
 



손해액 20% 공제…사고당 최대 2000만원 보상

장애 사전고지 폐지,서명 없어도 통장·카드 개설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8-04-23 14:27:58

 


01.jpg
             ▲ 전동휠체어를 탄 장애인.ⓒ에이블뉴스DB
23일부터 ‘전동휠체어 보험상품’이 본격 출시, 전동휠체어 사용 시 발생하는 불의의 사고에 대해 사고당 2000만원, 연간 1억5000만원까지 보상해준다

금융위원회는 23일 서울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금감원, 금융협회, 장애인단체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장애인 금융이용 제약 해소를 위한 추진과제를 발표하고, 전동휠체어 보험지원을 위한 협약식을 체결했다.
 01.jpg
▲ 전동휠체어보험 계약 체결 .ⓒ금융위원회
■오늘부터 ‘전동휠체어 보험’…사고당 2000만원
당장 이날부터 본격 전동휠체어 보험상품이 출시됐다. 앞서 2016년 한국소비자원 조사에 따르면, 전동휠체어 이용자의 35.3%가 사고를 경험했으며, 2014년에는 전동휠체어를 타다 초등학생과 충돌했던 장애인은 기초생활수급자로서 배상능력이 없어 검찰에 송치되기도 했다. 
휠체어 사용 시 발생하는 불의의 사고에 대비해 마련된 이번 보험은 전동휠체어, 수동휠체어, 스쿠터 운행 중 발생한 제3자 배상책임으로, 보상한도는 사고당 2000만원, 연간 1억5000만원까지다. 
한국지체장애인협회와 생명보험협회가 보험료를 일부 지원하며 공제금액은 손해액의 20% 수준이다. 보장일은 계약일로부터 1년이다.
보험 가입신청은 지체장애인협회 정책지원부(02-2289-4340)에 문의하면 된다.
보험가입시 “장애인인데요..” 사전고지 폐지
장애인이 보험가입에 차별받지 않도록 청약시 장애 관련 사전고지를 폐지했다. 
또한 올해 금감원 금융소비자보호 실태평가에 장애인 금융이용 편의성 항목을 신설해 평가에 반영토록 했다. 편의성 항목은 장애인 편의시설, 차별금지 준수여부에 대한 자체 모니터링 등이다. 
장애인이 실제 필요로 하는 보험상품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서도 복지부-보험개발원간 관련 통계 공유 등 협력체계를 구축토록 했다.

올해 안으로 경증정신질환자 실손보험 보장도 강화한다. 현재는 증세가 경미한 경우에도 실소보험 보장이 제한되는 등 보험상품 이용시 차별사례가 존재했다. 

이에 보험업감동시행세칙을 개정해 정신적인 이유로 수면이 어려운 경우에 대해서도 실손의료보험에서 보장토록 했다.

■7월부터 자필서명 없이도 통장‧신용카드 발급

오는 7월부터 자필서명 없이 통장 및 신용카드 발급도 가능해진다. 그간 시각‧지체장애인 등의 경우 스스로 신청서 작성 및 서명을 하기 어려워 신용카드 및 통장 발급을 거부당한 사례가 많았다. 

이에 자필서명이 불가능한 지체장애인 등에게 통장 및 신용카드를 녹취 및 화상통화 등 대체수단을 통해 서명 없이 발급토록 했다.

또 4월부터 장애인 특별부양신탁에서 교육과 의료 등 필수적 지출사유에 대해서는 원금인출을 허용하는 등 장애인들을 위한 신탁 혜택 확대했다. 

이는 그동안 장애인신탁의 원금인출이 금지돼 있어 갑작스러운 건강 악화 등 예상치 못한 비용이 발생한 경우 신탁을 해지하거나 장애인 신탁에 가입했다고 하더라도 다른 위험보장 수단을 마련할 필요가 있었던 제도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조치다. 

아울러 증여세 면세한도 상향조정(현 5억원 한도) 등 지원방안에 대해서는 관계기관 간 협의를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01.jpg
▲ 수화상담 서비스 구조.ⓒ금융위원회
■오늘부터 청각장애인 ‘보험상담’ 수화서비스 제공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2025년 이용자교육 참석 안내] - 활동지원 사회서비스부 2025.06.12 807
공지 [제6회 Good Job 장애인 보치아 대전 성료 보도] 사회서비스부 2025.05.27 1035
» 장애인 ‘전동휠체어 보험상품’ 본격 출시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05.02 2689
48 서울서남보조기기센터, 장애인 의복리폼 사업 진행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05.02 2364
47 2018 롯데재단 후원 장애인 보조기기 지원사업 안내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04.30 2131
46 강남구, 재난시 주민행동요령 애니메이션으로 제작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04.25 2417
45 7월부터 장애인보장구 급여 적용 확대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04.25 2380
44 제 19회 성재활 세미나 안내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04.19 2413
43 2018년 장애여성 아동 지원계획(안)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04.16 2312
42 2018 현대모비스 장애아동 이동편의 보조기구(개인) 지원사업 안내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04.13 2331
41 2018 4월 SPC 장애어린이 · 청소년 의료비 지원사업 안내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04.13 2561
40 양천구 장애정책 현황과 전망 토론회' 4월17일 열려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04.12 2504
39 장애인무용 전문교육기관 MADE의 새로운 수강생을 모집합니다!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04.12 2319
38 2018년 서울시 중증장애인 이룸통장 신규 참가자 모집 안내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04.30 2351
37 2030 청년 의족 지원사업 안내-KB국민카드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04.04 2288
36 삼성전자 절단장애 아동.청년(25세 이하) 활동형 의족지원사업 안내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04.04 2268
35 [청년정책] 정책발표 리뷰!! 청년 일자리 대책, 액기스 총정리!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03.29 2476
34 서울시, 영구임대주택 3211호 예비입주자 모집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03.29 2307
33 제15회 서울시장애인취업박람회' 4월 18일 팡파르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03.28 2201
32 2018 새내기 장애대학생 디지털 학습보조기구 지원사업 신청안내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03.20 2202
31 2018년 희망두배 청년통장 신규참여자 모집 안내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03.15 2288
30 연령대별 맞춤형 서울 문화예술교육! 이 모든 게 무료?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03.15 2227

기관명 : Good Job 자립생활센터 | 대표 : 김재익
고유번호 : 220-82-61664
주소 : (우 0624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8길 36 1~2층
TEL: 02-518-2197 FAX: 02-518-2105 | E-Mail : goodil@hanmail.net

Copyright 2022 Good Job 자립생활센터 All Rights Reserved.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