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보제공

 
 장애인 고용률 저조한 300인 이상 기업 749개소
고용노동부는 장애인 의무고용률에 미달한 국가·자치단체 39개소 및 공공기관 64개소와 장애인 고용이 저조한 300인 이상 민간기업 749개소 등 총 852개소의 명단을 공표한다고 밝혔다.
8일(금)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10년 말 기준 장애인 고용실적에 따르면, 의무고용 대상 사업체 23,249개소에서 장애인 126,416명을 채용, 2.24%의 고용률을 보였다.  
이번 명단 공표 기준은 공공부문의 경우 의무고용률 3%에 미달(공무원 아닌 근로자 및 기타공공기관은 2.3%)한 모든 기관이며 민간기업은 상시근로자 100인 이상 기업 중 장애인 고용률이 의무고용률 2.3%에 현저히 미달한 (1.3% 미만 = 의무고용률 2.3%× 60%) 기업이다.
 2010.12월 장애인 고용률을 기준으로 해서 명단 공표대상으로 선정된 곳은 총 3,138개소로 공공부문 180개소, 민간기업 2,958개소 등이다.
고용노동부는 지난 5월 2일 공표대상 기업 및 기관에 선정  결과를 알리고 5월 초순 부터 6월 중순까지 장애인 고용을 늘리도록 집중 지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6월 말 현재 303개 업체에서 1,296명(중증장애인 221명)을 신규 채용하였으며, 444개 업체에서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을 통해 1,861명을 모집·채용 중이며, 15개 업체에서는 채용을 전제로 사업체 현장훈련 프로그램(장애인 95명)을 운영하고 있다. 
뒤늦게 추가로 채용된 장애인 1,296명을 살펴보면 정부부문 17개 기관 231명, 공공기관 21개소 101명, 민간기업 265개소 964명이다.
     (장애인 채용: 303개 업체, 1,296명) 중소기업은행(30명, 전화상담ㆍ사무지원), 애니카자동차손해사정서비스(12명, 전산입력), 현대아미스(29명, 건물경비), 삼성전자(288명, 전자제품 제조), 서원유통(20명, 매장정리) 등
     (장애인 모집·채용 진행: 444개 업체, 1,861명) LG전자(100명), 하나은행(54명), 스타벅스커피코리아(40명), CJCGV(60명), 롯데칠성음료(18명), 신한금융투자(16명), 신한생명보험(15명), 아시아나항공(14명) 등
    (자회사형 표준사업장 설립 협약체결: 4개소) LG 디스플레이(LCD 제조업), SK 네트워크(정보통신업), SK C&C(IT업), SK 텔레콤(이동통신업)
이번 명단공표 사전예고와 집중이행 지도를 통해 장애인 고용률이 0.02%p 올라가는 효과를 거두었다.
 특히 현재 모집·채용이 진행되는 인원까지 포함하면 약 3천여 개의 일자리가 창출되는 효과가 기대되며 이 수치는 상시 100인 이상 기업의 장애인 의무고용 일자리(88,933개) 중에서 추가 채용되어야 할 일자리(48,724개)의 6.7%에 해당된다.
한편, 사전예고에도 불구하고 집중이행 기간 동안 장애인 고용 확대 조치를 취하지 않은 기관 및 기업은 2,211개사였다.
이들 기관 및 기업은 최종 명단공표 대상으로 확정되었고, 이 중 공공부문과 상시 300인 이상 기업 등 총 852개소는 8일에 공표하였다.
 아울러 300인 미만 기업 중 장애인 고용률이 현저히 낮은 기업(1,359개)은 다음주 중 명단이 공표될 예정이다.
 고용노동부는 이번 상반기에 명단이 공표된 기업을 대상으로  하반기에도 지속적으로 장애인 고용을 지도하고 올해 말경 2차 명단공표를 할 계획이다.
   이채필 고용노동부장관은 이번 장애인 고용 저조 기업 명단을 공표하면서 “장애인 고용을 늘리려면 기업들이 우수기업 사례를 벤치마킹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장애인 고용을 단순히 시혜를 주는 차원이 아니라 이들이 가진 숨은 강점을 기업에서 적극 활용해서 경쟁력으로 키워나갈 수 있도록 관점을 바꿔야 할 것”고 이라고 전했다.
 “따라서 정부도 사업주에게 기업의 수요와 연계한 맞춤훈련,  모집·채용대행 서비스, 보조공학기기·근로지원인 서비스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이 장관은 6일(수)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을 방문, 장애인 고용촉진사업 추진현황을 점검한 바 있으며, 장애인이 직업 생활을 통해 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가며 자아를 실현할 수 있도록 공단이 일자리 창출과 지원에 각별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 줄 것을 당부했다
 장애인 고용률 저조한 300인 이상 기업 749개소
고용노동부는 장애인 의무고용률에 미달한 국가·자치단체 39개소 및 공공기관 64개소와 장애인 고용이 저조한 300인 이상 민간기업 749개소 등 총 852개소의 명단을 공표한다고 밝혔다.
8일(금)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10년 말 기준 장애인 고용실적에 따르면, 의무고용 대상 사업체 23,249개소에서 장애인 126,416명을 채용, 2.24%의 고용률을 보였다.  
이번 명단 공표 기준은 공공부문의 경우 의무고용률 3%에 미달(공무원 아닌 근로자 및 기타공공기관은 2.3%)한 모든 기관이며 민간기업은 상시근로자 100인 이상 기업 중 장애인 고용률이 의무고용률 2.3%에 현저히 미달한 (1.3% 미만 = 의무고용률 2.3%× 60%) 기업이다.
 2010.12월 장애인 고용률을 기준으로 해서 명단 공표대상으로 선정된 곳은 총 3,138개소로 공공부문 180개소, 민간기업 2,958개소 등이다.
고용노동부는 지난 5월 2일 공표대상 기업 및 기관에 선정  결과를 알리고 5월 초순 부터 6월 중순까지 장애인 고용을 늘리도록 집중 지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6월 말 현재 303개 업체에서 1,296명(중증장애인 221명)을 신규 채용하였으며, 444개 업체에서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을 통해 1,861명을 모집·채용 중이며, 15개 업체에서는 채용을 전제로 사업체 현장훈련 프로그램(장애인 95명)을 운영하고 있다. 
뒤늦게 추가로 채용된 장애인 1,296명을 살펴보면 정부부문 17개 기관 231명, 공공기관 21개소 101명, 민간기업 265개소 964명이다.
     (장애인 채용: 303개 업체, 1,296명) 중소기업은행(30명, 전화상담ㆍ사무지원), 애니카자동차손해사정서비스(12명, 전산입력), 현대아미스(29명, 건물경비), 삼성전자(288명, 전자제품 제조), 서원유통(20명, 매장정리) 등
     (장애인 모집·채용 진행: 444개 업체, 1,861명) LG전자(100명), 하나은행(54명), 스타벅스커피코리아(40명), CJCGV(60명), 롯데칠성음료(18명), 신한금융투자(16명), 신한생명보험(15명), 아시아나항공(14명) 등
    (자회사형 표준사업장 설립 협약체결: 4개소) LG 디스플레이(LCD 제조업), SK 네트워크(정보통신업), SK C&C(IT업), SK 텔레콤(이동통신업)
이번 명단공표 사전예고와 집중이행 지도를 통해 장애인 고용률이 0.02%p 올라가는 효과를 거두었다.
 특히 현재 모집·채용이 진행되는 인원까지 포함하면 약 3천여 개의 일자리가 창출되는 효과가 기대되며 이 수치는 상시 100인 이상 기업의 장애인 의무고용 일자리(88,933개) 중에서 추가 채용되어야 할 일자리(48,724개)의 6.7%에 해당된다.
한편, 사전예고에도 불구하고 집중이행 기간 동안 장애인 고용 확대 조치를 취하지 않은 기관 및 기업은 2,211개사였다.
이들 기관 및 기업은 최종 명단공표 대상으로 확정되었고, 이 중 공공부문과 상시 300인 이상 기업 등 총 852개소는 8일에 공표하였다.
 아울러 300인 미만 기업 중 장애인 고용률이 현저히 낮은 기업(1,359개)은 다음주 중 명단이 공표될 예정이다.
 고용노동부는 이번 상반기에 명단이 공표된 기업을 대상으로  하반기에도 지속적으로 장애인 고용을 지도하고 올해 말경 2차 명단공표를 할 계획이다.
   이채필 고용노동부장관은 이번 장애인 고용 저조 기업 명단을 공표하면서 “장애인 고용을 늘리려면 기업들이 우수기업 사례를 벤치마킹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장애인 고용을 단순히 시혜를 주는 차원이 아니라 이들이 가진 숨은 강점을 기업에서 적극 활용해서 경쟁력으로 키워나갈 수 있도록 관점을 바꿔야 할 것”고 이라고 전했다.
 “따라서 정부도 사업주에게 기업의 수요와 연계한 맞춤훈련,  모집·채용대행 서비스, 보조공학기기·근로지원인 서비스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이 장관은 6일(수)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을 방문, 장애인 고용촉진사업 추진현황을 점검한 바 있으며, 장애인이 직업 생활을 통해 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가며 자아를 실현할 수 있도록 공단이 일자리 창출과 지원에 각별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 줄 것을 당부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27 8월 넷째 주 주간소식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1.08.30 1458
1326 "장애인 노동, 소득보장정책과 함께 가야"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1.07.12 1609
1325 활동보조인과 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공동체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1.07.12 2001
1324 7월 둘째 주 주간소식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1.07.11 1467
» “장애인 고용 실적 저조한 852개소 명단 공개”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1.07.11 1733
1322 장애아동의 치료를 위한 맞춤형 대안교육을 찾아서....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1.07.11 1565
1321 국립재활원 방문석 원장 “의료·연구·훈련 구슬 꿰어 국가중앙재활기관 위상 만들 것”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1.07.08 1835
1320 김총리, 의료봉사자 격려..."나눔ㆍ배려 문화 확산해야"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1.07.08 1478
1319 독서치료를 통한 자기 개발 프로젝트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1.07.07 1584
1318 중증장애인에게 활동지원서비스 확대 제공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1.07.07 1475
1317 자식있어도 기초생활수급비 받을 수 있다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1.07.07 1542
1316 국민연금, ‘장애등급 판정기준’ 문제 인정 file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1.07.06 2067
1315 자식있어도 기초생활수급비 받을 수 있다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1.07.06 1391
1314 시각 및 중증장애인 도서 대출 택배무료배송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1.07.05 1405
1313 한국장애인개발원, 장애인일자리 체험수기 공모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1.07.05 1421
1312 "아우성, 장애인 성 문제에 중심 역할할 것"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1.07.04 1598
1311 문화공연 ‘오픈유어 아이즈’ 공연 관람 초대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1.07.04 1605
1310 이정선 의원, 장애인생활시설서 지역사회 자립으로 토론회 개최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1.07.04 1762
1309 2011 장애인보조기구 공모전 개최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1.07.04 1380
1308 온라인으로 보육료ㆍ양육수당 지원 신청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1.07.04 129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