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김동범 사무총장이 학연·지연 등을 배제한 후보자의 공약을 보고 투표하는 ‘유권자 운동’을 제안했다.
김동범 사무총장은 10일 여의도 이름센터 이룸홀에서 열린 ‘2011년도 장애인최고지도자포럼’에서 다가오는 2012년 총․대선과 관련 장애인계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했다.
김 사무총장은 “국회에 입성한 장애인계 비래대표들이 두 배 순으로 늘어나면서 어느 순간 공약보다는 차기 비례대표에 대한 관심에만 치중하는 경향이 있다”고 장애인계를 꼬집었다.
이어 김 사무총장은 “장애인계는 제대로 된 장애인공약을 제시하는 후보자를 뽑아야 한다”며 “노무현 후보의 당선에 장애인계가 힘을 싫어준 이유 역시 장애인을 위한 회관(이룸센터)을 지어 주겠다고 약속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강조했다.
다만 김 사무총장은 장애인정책들을 미리 만들고 이를 각 정당이나 의원들에 제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애인계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단서를 달았다.
또한 김 사무총장은 “미국의 ADA법 제정 배경을 살펴보면 당시 후보인 조지 부시가 장애인들의 의견인 ADA법을 제정하겠다고 밝히면서 대통령으로 당선됐다"고 덧붙였다.
특히 김 사무총장은 “내년에 있을 총․대선이 장애인계를 위한 마지막 기회가 될지도 모른다”고 강조했다.
급속한 고령화 문제가 장애인복지 보다 더 큰 사회문제로 떠오르면서 장애인복지는 뒷전으로 밀리고 있다는 것이다. 김 사무총장에 따르면 전체 11%인 560만명이 노인인구로 이 같은 추세면 20년 후에는 노인이 전체인구의 25%를 차지하게 된다.
김 사무총장은 “장애인을 위한 정책을 만드는 시기였다면 다음은 속을 채우는 시간이 돼야 한다”며 “장애인복지에 대한 관심이 뒤로 밀릴 수 있는 만큼 시간이 없다”고 주장했다.
한편 또 다른 강연자인 서울시 이상호 의원은 ‘장애계와 장애인당사자의원 상관관계’에 대해 김동호 전 장애인정책과 재활지원팀장은 ‘세계속의 한국장애인’을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김동범 사무총장은 10일 여의도 이름센터 이룸홀에서 열린 ‘2011년도 장애인최고지도자포럼’에서 다가오는 2012년 총․대선과 관련 장애인계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했다.
김 사무총장은 “국회에 입성한 장애인계 비래대표들이 두 배 순으로 늘어나면서 어느 순간 공약보다는 차기 비례대표에 대한 관심에만 치중하는 경향이 있다”고 장애인계를 꼬집었다.
이어 김 사무총장은 “장애인계는 제대로 된 장애인공약을 제시하는 후보자를 뽑아야 한다”며 “노무현 후보의 당선에 장애인계가 힘을 싫어준 이유 역시 장애인을 위한 회관(이룸센터)을 지어 주겠다고 약속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강조했다.
다만 김 사무총장은 장애인정책들을 미리 만들고 이를 각 정당이나 의원들에 제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애인계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단서를 달았다.
또한 김 사무총장은 “미국의 ADA법 제정 배경을 살펴보면 당시 후보인 조지 부시가 장애인들의 의견인 ADA법을 제정하겠다고 밝히면서 대통령으로 당선됐다"고 덧붙였다.
특히 김 사무총장은 “내년에 있을 총․대선이 장애인계를 위한 마지막 기회가 될지도 모른다”고 강조했다.
급속한 고령화 문제가 장애인복지 보다 더 큰 사회문제로 떠오르면서 장애인복지는 뒷전으로 밀리고 있다는 것이다. 김 사무총장에 따르면 전체 11%인 560만명이 노인인구로 이 같은 추세면 20년 후에는 노인이 전체인구의 25%를 차지하게 된다.
김 사무총장은 “장애인을 위한 정책을 만드는 시기였다면 다음은 속을 채우는 시간이 돼야 한다”며 “장애인복지에 대한 관심이 뒤로 밀릴 수 있는 만큼 시간이 없다”고 주장했다.
한편 또 다른 강연자인 서울시 이상호 의원은 ‘장애계와 장애인당사자의원 상관관계’에 대해 김동호 전 장애인정책과 재활지원팀장은 ‘세계속의 한국장애인’을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