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 교인들 대다수가 교회 내에 장애인 전용주차구역 등의 장애인편의시설이 설치돼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신대 박혜전 교수가 지난 8월부터 10월까지 부산·경남 지역교회 교인 279명(장애인 2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 교회의 장애인식 및 장애수용(편의시설 등)에 관한 조사연구' 결과, 전체 94.9%인 265명이 예배당을 신축할 때 '교회 내에 장애인 전용주차구역을 설치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93.9%인 262명은 '일반 화장실 내부에 난간이 부착된 장애인용 대·소변기를 설치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93.1%인 260명은 '장애인 전용화장실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는데 동의했다.
또한 '주차장 입구에서부터 장애인 전용주차구역에 이르기까지 유도표식을 할 필요가 있다'는 질문에는 92.8%(259명)가 '(매우)그렇다'고 답했으며, '장애인용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는 질문에도 88.8%(248명)가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밖에 휠체어리프트(83.1%)나 경사로 설치(76.3%)에 대한 필요성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회 내 장애인만을 위한 예배부서를 두는 부분에 대해선 전체의 31.9%인 89명만이 찬성했으며, 60.2%인 168명이 반대하고 있었다. 찬성한 사람들의 46.6%(41명)는 찬성 이유로 '예배에 집중하기 위해서'라고 답했으며, 반대한 사람들의 84.9%(146명)는 반대 이유로 '나와 동등하기 때문'이라고 답변했다.
박혜전 교수는 "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위해서는 지역사회 내의 교회 역할도 매우 중요하다"며 "한국 교회는 장애인 사역을 위해 적합한 편의시설을 갖추고 어떤 유형의 장애인이라도 어려움없이 예배드릴 수 있는 공간이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교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주보와 홈페이지 웹접근성 지원,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화통역 봉사자, 신체장애인을 위한 엘리베이터 등의 시설 배려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고신대 박혜전 교수가 지난 8월부터 10월까지 부산·경남 지역교회 교인 279명(장애인 2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 교회의 장애인식 및 장애수용(편의시설 등)에 관한 조사연구' 결과, 전체 94.9%인 265명이 예배당을 신축할 때 '교회 내에 장애인 전용주차구역을 설치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93.9%인 262명은 '일반 화장실 내부에 난간이 부착된 장애인용 대·소변기를 설치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93.1%인 260명은 '장애인 전용화장실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는데 동의했다.
또한 '주차장 입구에서부터 장애인 전용주차구역에 이르기까지 유도표식을 할 필요가 있다'는 질문에는 92.8%(259명)가 '(매우)그렇다'고 답했으며, '장애인용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는 질문에도 88.8%(248명)가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밖에 휠체어리프트(83.1%)나 경사로 설치(76.3%)에 대한 필요성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회 내 장애인만을 위한 예배부서를 두는 부분에 대해선 전체의 31.9%인 89명만이 찬성했으며, 60.2%인 168명이 반대하고 있었다. 찬성한 사람들의 46.6%(41명)는 찬성 이유로 '예배에 집중하기 위해서'라고 답했으며, 반대한 사람들의 84.9%(146명)는 반대 이유로 '나와 동등하기 때문'이라고 답변했다.
박혜전 교수는 "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위해서는 지역사회 내의 교회 역할도 매우 중요하다"며 "한국 교회는 장애인 사역을 위해 적합한 편의시설을 갖추고 어떤 유형의 장애인이라도 어려움없이 예배드릴 수 있는 공간이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교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주보와 홈페이지 웹접근성 지원,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화통역 봉사자, 신체장애인을 위한 엘리베이터 등의 시설 배려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