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보제공

2018 볼보자동차코리아 장애어린이 보조기구 지원사업 안내

 

 
 
01.png

 
 

장애어린이의 건강한 이동권을 위하여 

 장애어린이 및 청소년은 이동권의 제약이 많고, 그 어려움이 성장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때로는 발이 되어주고, 때로는 몸의 지지대가 되어줄 보조기구가 꼭 필요합니다.

 볼보자동차코리아에서 지원하는 보조기구를 통하여 장애어린이 및 청소년들이 ‘건강한 이동’을 하면서 보다 많은 활동과 경험을 쌓아나가기를 기원합니다.

 푸르메재단에서는 볼보자동차코리아와 함께 보조기구 지원이 필요한 만 18세 미만(2000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사람)의 어린이‧청소년의 건강한 이동권을 위하여 개인 선택-맞춤형 보조기구를 지원합니다.

장애인 보조기구
장애인이 장애의 예방‧보완과 기능 향상을 위해 사용하는 의지(義肢)‧보조기 및 그 밖에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는 보장구와 일상생활의 편의 증진을 위해 사용하는 생활용품

보조기구 품목 예시 (참고)
보건복지부 중앙보조기구센터(http://knat.go.kr/wordpress/)
서울시보조공학서비스센터(http://www.seoulats.or.kr/)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http://www.atrac.or.kr/)


  • 신청 기간 : 2018년 11월 1일 (목) ~ 2018년 12월 12일 (수)


  • 지원대상
    만 18세 미만(2000년 1월 1일 이후 출생자) 등록 장애인
    – 초·중·고에 재학 중인 경우 만 18세를 초과하여도 신청 가능
    – 단, 장애 미등록의 경우 만 5세 미만까지 신청 가능 (의사소견서 관련 소견 내용 필수 포함)
    ※ 본 재단으로부터 최근 2년 간 보조기구 지원을 받은 자는 제외


  • 지원 내용
    보조기구 지원(개인별 선택-맞춤형)


    이동관련 보조기구
    (자세유지기기,
    이동보조기기,
    치료보조기기,
    전동스쿠터,
    수동휠체어 등)
    개인별 필요 보조기구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신청(시중 판매 보조기구 중)
    – 지원금액 : 1인당 250만원 한도 보조기구 지원
    ※ 지원 금액 내에서 다수의 보조기구 지원 가능

         단, 견적가가 지원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금액은 자부담

    지원 인원 : 65명 내외



  • 신청 방법
    – 보호자(개인) 지원 신청 불가능

     사례관리가 가능한 기관의 지원추천자(사례관리자)가 지원 신청
    ⋅ 추천 가능한 기관은 인(허)가된 사회복지시설, 의료기관, 교육기관 및 지방행정기관(읍‧면‧동 주민자치센터 등) 등지원기간 동안 사례관리 가능 기관
    – 지원 내용과 일정을 확인하고, 신청‧접수 기간 내 신청 서류 제출
    – 신청자 필수 서류는 반드시 제출하고, 해당자 선택 서류는 해당되는 경우에만 제출
    지원신청 보조기구 선택 시 주치의, 보조공학사 등 보조기구에 대한 전문성 갖춘 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자유롭게 품목 결정
    신청 서식 및 자세한 안내는 재단 홈페이지(www.purme.org) 사업소개-배분-알리미(신청공지)에서 확인
    – 담당자 전자우편 접수 (배분사업팀 도동균 간사 do0107@purme.org)


  • 제출 서류
     필수 서류 (신청기관 공문 제출은 불필요, 신청서 겉면의 기관 직인으로 공문 갈음)

    ⋅ 신청서(별첨 파일)
    ⋅ 대상자 사례관리 기록지(별첨 파일)
    ⋅ 개인정보 수집, 이용 및 제 3자 제공 동의서(별첨 파일)
    ⋅ 장애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복지카드 앞뒤 사본, 장애인증명서, 장애인 진단서 중 택1)
    ⋅ 주치의 소견서 : 지원요청 항목에 대한 기재 필수(보조기구 품명 기재 必) (교통사고 후유 장애의 경우 관련 내용 기재)

    ⋅ 가족 관례를 확인할 수 있는 서류(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 중 택1)
    ※ ‘주민등록번호 수집법정주의(2014.08.07. 시행)’에 의거하여 주민번호 수집이 금지. 주민등록등본 제출 시, 주민등록번호 앞자리만 표기된 서류로 제출
    ⋅ 보호자 소득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맞벌이 경우 부부 모두 서류 제출)

직장근로자(1) 자영업자/

일용직근로자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
–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 건강보험료 납입증명서

건강보험료 납입증명서 수급자 / 차상위 증명서

※ 차상위계층 확인 시 아동 명의의 ‘차상위 본인부담 감면증명서’는 인정하지 않음.

– 선택 제출 서류(아래 각 항목에 해당하는 아동만 제출)
  ⋅ 시설입소확인서(신청 아동이 장애인생활시설에 거주 중인 경우)
⋅ 재학증명서(학교에 재학 중이나 만 18세 이상인 경우)
가족 중 교통사고 후유 장애 증빙(가족 중 교통사고 후유 장애로 투병 중인 구성원이 있는 경우)
가족 장애 및 질병 관련 증빙(가족 중 장애나 질병으로 투병 중인 구성원이 있는 경우)
⋅ 전년도 의료비 납입증명서(직전년도 의료비 납입증명서, 국세청 의료비 납부확인서 등)
⋅ 주거 확인 서류(매매계약서, 임대차계약서, 무상거주사실확인서 중 택1)


  • 신청 서류 제출 방법
    – 필수 및 해당 선택 서류를 출력하여 신청기관 직인 및 추천자, 보호자 서명 날인
    – 날인 완료 서류를 한 묶음으로 PDF 스캔 후 제출  (대상 아동 1명당 1개의 PDF 파일로 제출,  1개 기관에서 2명 이상의 아동을 신청하는 경우 아동 당 1개의 파일로 나누어 제출 )

  • – 담당자 E-MAIL로 발송

– 지원 완료 후 제출 서류 

    ⋅ 종결 보고서 및 만족도 조사지 [사업 종결 1개월 전(前) 별도 안내 및 양식 E-mail 발송]


  • 심사 기준
    – 1차  팀 평가 (적격성 평가) : 지원 신청자의 제출 서류 충실도, 장애 정도, 소득 수준 등 평가
    – 2차  배분위원 평가(타당성 평가)  : 지원 신청자의 시급성, 필요성, 효과성 및 배분위원 의견 등 평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CRPD에서 돌봄통합까지 장애인 정책의 연속성과 확장」 정책토론회 성료! GoodJob자립생활센터 2025.07.30 2020
120 휠체어 사용 아동들의 이동권 향상을 위한 지원 사업(세잎클로버+)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9.01.11 1797
119 저소득 장애아동‧청소년 맞춤형 지원사업 신청안내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9.01.11 1779
118 2019 SPC 장애어린이. 청소년 보조기구 지원사업 안내 file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9.01.10 1720
117 2019 SPC 장애어린이 재활치료비 지원사업 안내(1차) file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9.01.10 1913
116 가족지원상담센터, 푸르메아카데미 참여자 모집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9.01.10 1372
115 알아두면 쓸모 있는 44가지 2019 달라지는 서울생활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9.01.03 1723
114 서울시 친환경콘덴싱보일러 확대 보급사업 실시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12.13 2001
113 2019 일주학술문화재단 비장애 형제/자매 예체능 교육비 지원사업 file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12.12 1996
112 장애 가이드북(E-Book) 안내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11.26 2190
111 장애인 복지 일자리 지원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11.16 2224
110 장애인고용시설 장비 융자·지원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11.16 2370
109 장애인등 지방세, 비과세 감면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11.06 2764
» 2018 볼보자동차코리아 장애어린이 보조기구 지원사업 안내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11.14 2532
107 2018 함께서울정책박람회 개최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10.10 1856
106 중도중복장애학생 몸짓상징 활용세미나 개최 및 신청 안내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11.12 2568
105 AAC 아카데미, 의사소통 캠프 참여안내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11.12 2603
104 서울시 장애인 전환서비스 지원사업 세미나에 초대합니다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11.06 2603
103 장애인 무료운전교육 안내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11.06 2605
102 2018 정책과 대안포럼 '장애정책박람회'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11.05 2527
101 2018 서울시 감정노동 종사자 무료 심리상담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18.10.31 2638

기관명 : Good Job 자립생활센터 | 대표 : 김재익
고유번호 : 220-82-61664
주소 : (우 0624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8길 36 1~2층
TEL: 02-518-2197 FAX: 02-518-2105 | E-Mail : goodil@hanmail.net

Copyright 2022 Good Job 자립생활센터 All Rights Reserved.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