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의 사회지눌에 걸림돌이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신체의 기능을 보완해줄 활동지원과 보조기기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1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윤석용 의원(한나라당)에 따르면 장애계는 이러한 기능화를
통해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과 사회 문화적 장애요인을 제거할 수 있도록 활동지원과 보조기기 지원 정책의
개선을 정부에 매년 반복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윤석용 의원은 그 이유에 대해 우리나라의 보조기기 산업수준이 미국 독일 일본과 견줘 봤을 때 아직
걸음마 수준에 불과하고 정책적으로도 여전히 보조기기 지급 품목은 극히 제한적이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특히 현재 시각장애인들의 생활을 살펴보면 심각한 환경이다. 약이나 건강식품을 복용하고
화장품을 상용 때 공적인 문서의 내용을 파악할 때 등 타인에 의지해서만 알 수 있는 열악한 환경에 놓여있다. 그만큼 정보차별을 받고 있고 이로 인해 빈곤을 야기 시키는 환경은 시각장애인의 삶을 다양한
측면에서 위협하고 있다.
용기나 포장지에 있는 바코드를 스마트폰으로 독해새ㅐ 관련내용을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이미 개발됐고 관련 이프라가 구축됐고 법률안이 발의되었음에도 이러한 서비스가 언제 제공될지는 여전히 미수수이다.
윤 의원은 하루빨리 장애인의 삶의 질과 자아실현을 위한 방안으로 보조기기 관련들이 제 개정돼 장애인들이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다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