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보제공

손등에 간단한 그림 그려주어 지도하기 등 맞춤형 지도

   

장애아 생활습관 형성은 손씻기 지도부터.jpg



▲ 손씻기. ⓒ질병관리본부       
 코로나19의 지역 감염 확산으로 온 나라가 비상체제이다. 안타깝게도 장애인복지시설에서도 감염자가 나왔다.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하면서 질병관리본부에서 지켜야 할 행동 중 가장 강조하고 있는 것은 손씻기이다. 이런 상황을 지켜보면서 새삼스레 25여 년 전, 유학 시 만난 모리 교수가 떠오른다. 내가 모리 교수를 만난 곳은 도쿄가쿠게이대학교(東京學藝大學) 대학원이다. 국립대학으로 유아교육과는 문부성 연구지정 학교였다. 모리 교수는 유아 건강과 유아 운동심리를 담당했다. 그가 유아 건강 관련 강의 시 가장 강조했던 것은 손씻기 지도였다.“습관이 형성되는 영유아기에 손씻기 지도 하나만 잘해도 아이들의 건강 90% 이상은 책임져 주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질병은 바이러스에 의해서인데, 주로 손을 통해 바이러스가 몸으로 들어갑니다. 그러므로 손씻기를 잘하면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장애아 생활습관 형성은 손씻기 지도부터_2.jpg



 ▲ 동경학예대학교 정문에서 필자. ⓒ최순자       
영유아기부터 이런 교육을 받았던 때문인지 나와 같이 공부했던 일본 학생들은 학교에 오자마자 가방을 놓고 세면대로 갔다. 손을 씻고 또 한 가지 행동은 입안을 헹구어 내는 것이었다. 입안을 헹구는 것은 오고 가다 입안에 바이러스가 들어올 수 있다는 것이었다.일본 후생노동성 ‘보육소(우리나라 어린이집에 해당) 감염병 대책 가이드라인’에서도 손씻기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내용 외에 수도꼭지를 잠글 때는 손등을 사용하거나 종이타올을 사용할 것, 함께 사용하는 고형비누는 오염되기 쉬우므로 액체류 세정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는 것, 바쁘다는 이유로 손씻기를 게을리해서는 안 된다는 것까지 제시하고 있다.
   

장애아 생활습관 형성은 손씻기 지도부터_3.jpg



▲ 동경학예대학교 유치원. ⓒ 최순자       
장애아동에게도 생활습관 형성 지도가 중요하다. 특히 영유아기는 습관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이므로 반복적인 지도를 통해 손씻기 지도를 해야 한다. 습관은 몸에 베이는 것을 말한다. 자동적으로 손씻기를 할 때까지 지속적인 지도가 있어야 한다.손씻기 지도는 일반적으로 동영상 보여주기, 시범, 실습 등이 있다. 그러나 장애 유형에 따라 지도가 어려울 수 있다. 그러므로 맞춤형 지도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이해력이 떨어진 아이에게는 손등에 간단한 그림을 그려주어 지도하기 등이다.매년 10월 15일은 ‘세계 손씻기의 날(Global Handwashing Day)’이다. 이는 손씻는 것으로 감염되는 것에 대해 예방하자는 취지로 2008년에 국제연합총회(UN)에서 제정한 기념일이다. 그만큼 손씻기가 중요하다는 의미이다. 장애 유형에 따라 직접 손씻기가 어려운 경우도 있겠지만, 장애아동에게도 어려서부터 손씻기 지도를 통해 습관을 갖게 할 필요가 절실하다.
 출처:
http://www.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06&NewsCode=000620200228105606979007#z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칼럼니스트 최순자 (kje06@naver.com)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71 장애인 탈시설화, 더 많은 공감이 필요하다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16 563
2570 장애인 자치구 따로 있나, 장애인도 지역인인데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16 574
2569 장애는 장애일 뿐 오해하지 마시길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16 563
2568 장애계, 인간과 시장의 역할도 중요함을 잊지 말아야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15 516
2567 언젠가는 나아지겠지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15 560
2566 어떻게 죽을 것인가'를 읽고 느낀 탈시설 운동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15 491
2565 발달장애인도 문화예술을 누리는 것도 중요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11 526
2564 내 일상생활도 바꾼 코로나19를 버텨내며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11 515
2563 나처럼 사는 건 나밖에 없지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11 518
» 장애아 생활습관 형성은 손씻기 지도부터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10 555
2561 이 세상에 완벽한 부모가 있나요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10 439
2560 엘리베이터의 대한 단상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10 416
2559 알바하다 사업가 된 다운증후군 테일러씨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09 537
2558 스토브리그 보며 생각하는 발달장애인 리더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09 556
2557 서울의 장애인콜택시 타기가 겁난다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09 517
2556 발달장애인 고용의 불편한 진실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08 555
2555 되어야 하는 것과 되려는 것의 차이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08 572
2554 거기에는 있고 여기에는 없다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08 571
2553 사진의 주인은 사진 속 사람들이다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07 520
2552 미국 발달장애 여배우 카일라 크로머씨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07 424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