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보제공

장애는 장애일 뿐 오해하지 마시길

 

얼마 전 오랜만에 친정형제들과 모여 이런저런 이야기로 수다 삼매경에 빠졌다. 우리는 5자매인데 그날은 네 자매가 친정에 모였다. 아이들은 컴퓨터가 있는 방에서 자기들끼리 놀고, 남자들은 거실 쇼파에 모여 텔레비전 보고, 우리 여자 형제들은 커피 한잔씩을 들고 구석방에 모여 코로나 이야기, 경제 이야기, 아이 이야기로 수다를 이어갔다. 그런 와중에 살이 갑자기 많이 붙은 셋째가 옷 타령을 하며 한마디 툭 던졌다..

"아이, 옷 살 때 밴드는 불편해." "? ? 살 있으면 훅 보다 밴드로 된 게 더 편하지 않아?"내 말이 끝나기가 무섭게 형제들이 박장대소를 했다.

순간 뭔가 재미있는 액션이 있었는데 보지 못하는 나만 놓쳤나 싶어 잽싸게 물었다. "? ? 무슨 일이야? 나한테도 말해줘." 내 말에 형제들은 더 깔깔거리며 웃었다.

상황은 이러했다. 갑자기 살이 붙은 셋째가 옷 타령을 한 것 까지는 맞는데 옷 타령을 하면서 밴드에 올라온 옷들을 검색하며 한 말이었기에 다른 형제들은 맥락상 그 밴드가 온라인 밴드라는 걸 알았고 몰랐던 나는 그 밴드를 허리 밴드로 착각한 것이었다. 설명을 듣고 우리 모두는 또 한바탕 웃었다. 장애는 막을 장()에 꺼릴 애()자를 쓴다. 장애라는 한자어가 부정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니 장애인하면 부정적인 이미지나 느낌이 떠오르는 게 당연할지도 모른다.

그래서일까? 장애인에게 장애를 거론하는 게 실례이며 거론하지 않는 것이 배려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고 보면 중도실명 후 비장애인으로부터 먼저 "시각장애가 있으세요?" 혹은 "앞을 보지 못하나요?" 같은 질문을 받아 본 적이 없다.

비장애인들이 장애에 대해 언급한다는 이유만으로 장애인들이 불쾌감을 느끼며 무시당했다고 여기는 게 아니다. 장애와 장애인에 대해 잘못된 인식을 갖고 그것이 확고부동한 사실인 양 장애인의 인권을 무시하고 존중하지 않는 말과 행동에 불쾌하고 화가 나는 것이다. 장애를 있는 그대로 이야기하고 차라리 알지 못하면 섣부르게 판단하기 보다 직접 질문하는 편이 장애인 당사자에게는 더 고마운 일이다.

신체의 장애가 곧 마음의 장애를 의미하는 게 아니다. 장애가 있으면 왠지 우울하고 피해의식에 사람 만나기를 꺼리고 매사 부정적이며 자존감이 낮아 쉽게 상처받고 그에 대한 회복 탄력성이 부족한 사람 일거라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그렇다 보니 장애에 대해 언급하는 것 조차 조심스러워 한다. 기쁘면 웃고 슬프면 우는게 당연한 것인데 장애인은 장애로 부정적인 감정만을 가지고 있을 거라 생각한다. 앞서의 상황에서 형제들은 내 장애를 그대로 인정하고 그로 인해 당연히 그럴 수도 있다는 사실에 모두 함께 웃을 수 있었다. 만약 내 말에 형제들이 '아이고, 보지 못하니 저런 말을 하는구나. 참 안됐어.' 하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면 우린 함께 웃을 수 없었을 것이다.

장애로 불편하기도 하지만 장애가 있다고 해서 무조건 우울하고 불행한 건 아니다. 장애인 당사자의 장애를 제대로 이해한다면 충분히 장애로 일어나는 상황에 함께 웃고 이야기 할 수 있다. 어쩌다 비장애인들에게 필자의 장애로 인한 재미있었던 에피소드를 이야기하면 주위 분위기가 순식간에 숙연해진다. 웃자고 한 소리인데 슬픈 이야기라도 들은 분위기이다. 오히려 필자가 그들에게 대단한 실례를 범한 듯한 느낌이다. 부디 장애는 장애일 뿐 오해하지 마시길....

출처: 에이블뉴스

http://www.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06&NewsCode=000620200323134916567036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칼럼니스트 김경미 (kkm75@kbuwel.or.kr)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71 장애인 탈시설화, 더 많은 공감이 필요하다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16 563
2570 장애인 자치구 따로 있나, 장애인도 지역인인데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16 574
» 장애는 장애일 뿐 오해하지 마시길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16 563
2568 장애계, 인간과 시장의 역할도 중요함을 잊지 말아야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15 516
2567 언젠가는 나아지겠지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15 560
2566 어떻게 죽을 것인가'를 읽고 느낀 탈시설 운동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15 491
2565 발달장애인도 문화예술을 누리는 것도 중요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11 526
2564 내 일상생활도 바꾼 코로나19를 버텨내며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11 515
2563 나처럼 사는 건 나밖에 없지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11 518
2562 장애아 생활습관 형성은 손씻기 지도부터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10 555
2561 이 세상에 완벽한 부모가 있나요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10 439
2560 엘리베이터의 대한 단상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10 416
2559 알바하다 사업가 된 다운증후군 테일러씨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09 537
2558 스토브리그 보며 생각하는 발달장애인 리더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09 556
2557 서울의 장애인콜택시 타기가 겁난다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09 517
2556 발달장애인 고용의 불편한 진실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08 555
2555 되어야 하는 것과 되려는 것의 차이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08 572
2554 거기에는 있고 여기에는 없다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08 571
2553 사진의 주인은 사진 속 사람들이다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07 520
2552 미국 발달장애 여배우 카일라 크로머씨 Good Job 자립생활센터 2020.09.07 424
위로